아틸라 왕의 말을 훔친 아이
이반 레필라 지음, 정창 옮김 / 북폴리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아무래도 불가능해. 하지만 꼭 빠져나가고 말 거야"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된다. 누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어떤 상황에서, 불가능하지만 꼭 빠져나가겠다고 말을 하는지, 혼잣말인지 아니면 누군가와의 대화인지...

그 모든 것은 단숨에 풀리게 되어 있다. 저 문장으로 시작되는 이야기를 펼쳐들어 읽기 시작하면 도중에 멈출 수 없이 이 많은 궁금증을 풀어보기 위해 계속해서 이야기에 집중하게 되기 때문이다.

숲 속의 빈 우물, 그 안에 어린 형제가 빠져 갇혀있다. 둘이 힘을 합쳐, 형은 동생을 끌어올려 동생이라도 내보내고 싶지만 그마저 힘에부쳐 실패하고 만다. 그리고 두 형제는 우물 안에서 벌레와 곤충, 구더기를 잡아 먹으며 연명해나간다. 그 끔찍한 생활의 묘사가 너무 생생하게 되어있어서, 나른한 주말 오후에 드러누워 책을 읽다가 벌떡 일어나 앉았다. 아침을 굶었기에 그나마 문자화 된 형제의 궁핍함을 쓰윽 읽으며 지나갈 수 있었다,는 생각을 하며 조금 더 천천히 그리고 조금 더  빠르게 책을 읽기 시작했다.

사실 이들의 이야기는 먼 과거에서 전래되어 내려오는 설화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지금 현실에서 일어나는 가난의 고통과 억압받으며 구속되어 있는 이들의 비참한 삶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은유라는 생각을 더 많이 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건 단지 그런 현실세계의 은유인 것일까?

 

숲 속 우물안에서의 생활은 단조롭게 흘러갈 듯 하지만 물이 가득차도 위험하고, 가뭄이 들어 비가 내리지 않아도 위험하다. 그리고 어둠이 깔린 밤, 늑대의 출현도 위험하다. 우물을 둘러 싼 늑대떼의 모습은 형제를 위협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늑대가 우물안으로 뛰어들어 순간의 배고픔을 해결한다고 해도 그 이후에 다시 우물을 빠져나올 수 있는가에 대한 생각에서 발길을 되돌리게 되고 형제는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런데 이상하다. 우물 안에서 지나가는 사람이 들을지 모른다고 소리쳐 부르기도 하고, 때로는 야생동물들도 지나가는데 이 숲의 우물에 두 형제는 어떻게 빠져들게 된 것일까. 왜 이들이 이런 상황에 처해지게 되었을까, 그리고 왜 그들을 도와주러 오는 사람은 없는 것일까에 대한 궁금증은 도무지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조금은 희망이 보이지 않는 지금의 현실을 떠올려보게 된다. 결국 형제는 숲속의 우물안에서 이렇게 생을 마감하게 될까?

이야기의 끝은...

희망이 있다, 라거나 희망이 없는 세계에서 결코 희망을 버릴 수 없는 그 이유를 찾게 된다, 라거나 놀라운 반전이 있다, 라는 식의 이야기를 내놓을 수가 없다. 역자는 이 이야기를 두 가지 방식으로 읽게 된다고 말하고 있다. 이야기 자체를 읽는 것과 이 책에서 다분히 드러나는 작가의 메시지를 염두에 두며 읽는 것. 그렇게 읽는다해도 이 이야기는 충격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마지막 문장을 읽으면서도 이야기의 끝이라는 생각은 할수가 없다.

내게는 그 마지막 문장마저도 이중적으로 읽힌다. 이야기 속 흐름에 따라 동생이 고민하는 내용이기도 하겠지만 책을 덮으며 이 이야기를 읽은 내가 실질적으로 하게 되는 고민이기도 한 것이 아닐까.

"그리하여 아침이면 불길한 꿈에서 눈을 뜨는 우리가, 밀려드는 바다의 용기로 주도권을 쥔 채 우리를 침묵시키는 장벽을 깨부수고 본래의 위치를 되찾을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5-07-20 10: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