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그림자 1 잊힌 책들의 묘지 4부작
카를로스 루이스 사폰 지음, 정동섭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하나라고? 맙소사, 누리에타... 소설은 사망해서 땅속에 묻혀버렸어. 지난 번에 뉴욕에서 도착한지 얼마 안된 친구 하나가 말하더군. 미국인들이 텔레비젼이라는 걸 발명하고 있는데 영화관 같은 거라더군. 하지만 집에 있는 영화관이지. 이제 책도, 미사도, 그 어느것도 필요없을거야. 당신 남편에게 가서 소설을 포기하라고 해"

뭐? 뭐라고? 소설이 망해서 땅 속에 묻혀버렸다고?
이 글을 읽으면서 난 나도 모르게 대답하고 있었다. '천만에, 내게는 지금도 여전히 책이 필요하고 미사도 필요해. 앞으로도 그럴꺼야!'

나는 아주 대단한 이야기꾼을 만났다. 불면의 밤을 지새우게 하고, 업무를 잊어버리게 했으며 다른 모든것을 팽개치고 이야기속에 빨려들어가게 마법을 거는 이야기꾼을 만나버린 것 같다. 이 마법을 어떻게 풀지?

"사람들은 너무 말이 많아. 인간은 원숭이가 아니라 앵무새에서 진화된 게 틀림없네"

내 안에 담겨있는 말들은 아마도 앵무새가 떠드는 말밖에 되지 않을거야. 그래서 나는 어렴풋이 머나먼 정열의 나라.. 현실감이 느껴지지 않는 그 나라의 바르셀로나에는 태고적부터 있었다고 해도 믿을 것만 같은 '잊혀진 책들의 묘지'가 여전히 전 세계의 순례자를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다는 이야기만 하고 가야겠다.
나도 머쟎아 그곳에 가서 잊혀진 책 한권을 입양해 오리라는 환상을 갖고간다.

짧게 이야기남기고 간다 하면서도 망설이는 건, 바람의 그림자가 내 안에 너무나 많은 그림자의 세계를 만들어놔버렸기 때문인가. 뭔가 좀 허전하다. 책 이야기도 아니고 느낌 이야기도 아니고.

어쨋든 이 책은 그가 말하는 것처럼 독서의 즐거움, 자기 영혼을 향해 열리는 문을 탐험하는 즐거움, 허구와 언어의 신비함에 자신을 내맡기는 즐거움, 아름다움과 상상력에 자신을 내맡기는 즐거움을 알게 해 주었다.

 

뱀발. 책을 덮으며 자꾸 영화 올드보이가 생각나는 건 이 책을 무척 흥미롭게 읽기는 했지만 그 안에 담겨 있는 증오와 분노때문인 것 같다. 잔혹한 아름다운 동화라고 생각하는 건 어울리지 않는 비유일까. 하지만, '희망은 잔인하고 헛되며, 양심이 없으니까' 라며 희망을 너무 믿지 않는다고 말하면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희망'을 잃지 않는 시간을 살고 있으메 감사하는 듯한 이 이야기는 결국 사랑을 이야기 하고 있는 듯 하기도하고.  아이구~ 정말 뱀발은 쓸모가 없는 것이다. ㅡ.ㅡ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5-06-09 15: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ㅡ.ㅡ

chika 2005-06-09 16: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왜 그런 표정을 지으시나요~ (훌쩍~)
바르셀로나로 갈꺼예요~ 오오~ 바르셀로나~!!! ㅠ.ㅠ

물만두 2005-06-09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드보이라니...

chika 2005-06-09 21: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ㅎㅎㅎ 스포일러가 될까봐 설명 못해드려요! 갠적으로 궁금하시면 글 남기시구랴. ㅎㅎ

하루(春) 2005-06-09 2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올드보이라니... 으음.. 알았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