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좀 깨지는 날인것같아 기분이 안좋지만. 입다물고 있으면 본전이라도 찾는걸 괜히 말을 꺼내서 욕이나 먹게 되는 날인것같지만. 사제와 평신도의 차이가 무엇인지 뼈저리게 느끼는 날이기때문에 깨지는건 당연한 결과라는 걸 떠올리며 그냥 까발려버리고 싶은. 또한번저지르고만다.내가.  

........ 글을 쓰다가 결국 지운다. 무서워서가 아니라, 그냥 가치가 없다는 걸 깨달은거다. 언급할 가치도 없고, 꽉 막혀있는 벽에다 대고 외치는 것도 변화의 가능성에 대한 희망으로 끝없이 부딪쳐보는 것인데 희망을 둘 수가 없다. 내가 교회에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게 된 건 그 가치를 헌신짝버리듯 버렸기때문이다. 

 

 

며칠 전 전태일열사의 사십주년 기념 책 '너는 나다'를 받았다. 그리고 같은 날, 정의구현사제단에서 발행한 빛두레의 강론글을 읽었다. '인간에 대한 예의' 

인간에 대한 예의는 무엇일까.  

사제소득과 관련해 엄청난 말들이 많았고 또 엄청난 일들이 있었다. 과정이야 어떻든 그들은 하느님께 봉헌된 이들이다. 그래서 그들에게 거룩함을 기대하지만... 하지만 중세교회만 타락한 것이 아니라 과거부터 지금까지 사제들의 사리사욕은 사라져본적이 없다,라는 생각을 확인하게 되었을뿐이다. 자신들의 소득이 연간 천만원도 아닌 백만원, 아니 크게 봐서 이백만원의 차이가 나게 줄어든다고 해도 그들의 생활에는 지장이 없을 것이다. 이백만원의 가치는 소득에 비례하다고 판단했을때. 그런데 그 줄어드는 금액을 갖고 문제삼는다. 사제생활 삼십년차가 넘는분이. 그분은 사제와 평신도를 비교하면 안된다고 한다. 그런데 어찌 비교하지 않을수가 있겠는가. 사람이 살아가면서 먹고자고싸고노는것. 다 똑같다. 그들은 성무활동을 한다고 한다면 그래 알겠다. 하지만 성무활동에는 '돈'이 들어가지 않는다.
아, 내가 간과하고 있었구나. 사제들은 청빈서원을 하지 않는다. 사리사욕을 채워도 되는거였다. 아니, 그건 상관하지 않는다. 인간적으로 그런 욕심이라는 것은 없애기가 쉽지 않다. 열사 전태일은 위대한 사람이었으니 별개다. 

인간에 대한 예의라는 것은. 자신의 것을 챙긴다면 그만큼 타인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시국미사에 동참하지 않더라도 그들을 형제라고 생각해 미사 후 먹을 간식거리를 챙겨주는 엄청난 배려가 있는 반면, 자신들이 받아드는 한달 급여가 적은 것은 알면서도 그보다 더 적은 금액으로 사회생활을 해야하는 교회업무종사자들에 대한 배려는 절대로 하지 못하는 이기심이 있다. 그리고 오늘 나는. 그것을 언급하고 있다는 이유로.  깨졌다.

 

 

너무 많은 생각들이 튀어나오고 있다.  

너는 나다,  

우리는, 지금 잘 살고 있습니까? 라는 물음은 나를 너무 부끄럽게하고 있다는 생각만 했었다. 그런데 오늘 그 물음은 나를 아프게 한다. 욕심에 가득찬 나를 부끄럽게 하기만 할뿐, 그걸 사제들에게 되물을 가치가 없다고 판단을 내리고 있는 내가 아프다. 아니, 비겁하다.  

정말 비겁한건 이런것이다. 나는 여전히 직장을 다닐것이고, 주는 월급으로 누릴 수 있는 모든 혜택을 누릴 것이다. 그리고 해야하는 일만 할 것이다. 해야하는 일도 하지 않는 자보다는 그나마 조금 낫다고 생각하고 마는 그런것들. 나는 비겁하게 세상을 살아가기로 하고 툭, 털어버리고 있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