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10, 총 149973 방문  
  •  
  •  
  • 페이퍼를 올리니 그나마 하루에 열명이라도 들어오는 듯 하다. 
  •  
  •  
  • 책방출을 하려고 하는 계획은 순전히 나의 게으름때문에 미뤄지고 미뤄지다가 결국 책은 엉뚱한 곳으로 많이 흘러들어갔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쌓여있는 몇권의 책들때문에 확실히 넘겨주기 위해 '이벤트'를 생각해보지만... 아무래도 책은 이곳보다는 다른 까페에 풀어놓는 것이 더 많이 나갈것같기도 하고. 어쨌거나 목록 정리하는게 여간 귀찮지않아. 
  •  
  •  
  •  
  • 책읽기보다 드라마보기가 재미있고, 드라마 보면서 듣는 음악이 귀에 쏙쏙 들어온다. 그나마 다행인것은 예전엔 곡 하나만 맘에 들어도 음반을 마구 사들이곤 했었는데 이젠 망설이고 또 망설이게 된다는 것...근데 이건 가만 생각해보면 우리 음악발전을 위해 썩 좋아할만한 반응은 아니구나. 아무튼 친구딸내미때문에 동방신기 디비디를 찾아헤매다닐때 들어봤던 그들의 음악은 별로였는데 이번에 드라마 ost는 정말 맘에 쏙 드는 음색과 화음이다. 얘들 목소리가 이렇진 않았었는데...ㅉ
    그래서 내가 들어보려고 미로틱을 찾는데, 오호통재라. 왜 19금의 북클릿이 있는 음반만 남아있는것인가. 근데 알라딘에 중고음반도 있던데, 중고음반을 사도 북클릿이 날아올까? 우리 조카녀석은 동방신기 잘생겼다는 말에 동의할 수 없다던데. 훗, 그래도 유노윤호가 젤 잘생겼다나? 어릴땐 전혀 아무런 관심이 없던 녀석이 이번에 영화홍보용으로 나온 마음이2 클리어파일을 갖고 있다고 말했더니 냉큼 받아 챙기더라. 그냥 내가 줄까? 하고 물어서 예의상 받아간거 아닐까 싶었는데 다음날 벌써 자기 물건을 챙겨 책가방에 챙겨넣어서 왠지 낯선듯하면서도 피식 웃음이 나는. 동방신기보다 송중기가 더 좋았던걸까? 
  • 참, 그녀석 가방을 보다가 책이 눈에 띄어 뒤적였는데... 우리나라학제로 하면 고등학교 1학년인 그녀석은 '베오울프'를 배운다고 했다. 현대어로 바꾼것이긴 하지만 소설로 쓰여진 것이 아니라 고어만 현대어로 바꾼 시 베오울프. 문득, 우린 고전문학을 어떻게 배우고 있을까... 궁금해졌다. 
  • 수능대비를 하듯이 조카녀석도 SAT를 같이 준비해야한다고 했다. 그래서 읽어야 할 필독서를 책장에 쌓아둔것을 봤는데 문학의 넓이가 장난아니다. 그나마 유명한 고전들이어서 내가 들어는 본 문학이어 다행이었지만... 그 한켠에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즈가 있는 걸 보고 헉,할수밖에없었어. 아무래도 위기감을 느꼈는지 모르겠다. 그후 집에 돌아와 공부해야겠구나,싶은 맘이 생겨난걸 보니. (그런 결심을 했었다는 걸 이제야 떠올리는 걸 생각하면 그 위기감도 별것 아니었는지 모르겠고) 
  •  
  •  
  •  
  • 정박사에 대한 급관심이 생겨났다. 정조를 재조명하는 책이 많이 나온 것 처럼 정약용선생에 관한 책도 많이 나왔겠지. 그와 관련해서 한자공부도 하고 싶은데 이놈의 머리가 이제는 오늘 아무리 열심히 외워봐도 내일이면 까먹는 머리가 되어서 도무지 흥이 안난다. 황사영백서로 유명한 황사영의 부인 정난주는 정약전의 딸이었나? 음.. 찾아보니 맏형 정약현의 딸이었군.  조선시대의 천주학은 집권권력에서 밀려난 사대부들을 중심으로 널리 퍼졌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그래도 그들에게 있어 천주학이란 사람과 사람사이에 차별이 없음을 기본교리로 하는 것임을 거리낌없이 받아들였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그 위대함을 느낀다. 지금의 천주교와는 아주 많은 차이가 있는 조선시대의 천주학에 다가선다는 것은. 음.... 
  •  
  •  
  •  
  • 아무튼 다산 정약용에게 급관심을 - 아니, 예전부터 줄곧 관심을 갖고 있긴 했지만 이제 한번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봐야겠다는 것이다. 
  • 좋은 책 있으면 무조건 추천받겠음.....? 헤헷;;;; 
  •  
  •  
  •  
  •  

  •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호인 2010-10-14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 누구나 게으름은 있고 편함을 추구합니다.
    리모컨을 한번 잡게되면 정신없이 이곳저곳 눈을 즐겁게 하는 곳을 뒤지게 되거든요.
    책읽기나 TV나 눈이 즐겁긴 마찬가지인데 뭔 차이가 있는 지, 갑자기 멍한걸요.ㅋㅋ

    chika 2010-10-14 2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TV를 볼땐 머리를 많이 안써도 된다는 장점...대사가 쏙쏙 들어오잖슴까 ㅎ

    blanca 2010-10-14 22: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율리시즈를 고등학생이요? 우아...정약용은 저도 완소하는 분인데^^;; 한자 실력이 딸려서 제대로 안다고 말씀 드릴 수가 없네요. 쉽게 드라마틱한 내용으로 그의 생애를 다룬 이덕일의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은 무엇보다 정말 재미있답니다, 또 chika님이 관심있어 하시는 조선시대후기와 천주학에 관련된 부분도 다루어져 있답니다. 학문 방법론이라고 해야 할까요? 현실과 접목시킨 다산의 연구 방법에 초점을 맞춘 책으로 정민의 <다산선생의 지식경영법>도 괜찮습니다. 정약용의 글들 중 엑기스만을 추려 낸 선집 우리고전100선의 <다산의 마음>도 너무 좋아요. 역시 뭐니뭐니 해도 목민심서를 읽어야 겠지만 저도 아직 거기까지는^^;;

    chika 2010-10-15 0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알려주신 책은 찾아서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대단하십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