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가이버가 좋았던 시절부터였는지 어쨌는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히 맥도날드를 알았던 시기는 아니었음은 기억한다. 우리 동네에는 한참 후에도 맥도날드라는 것이 없었고 내가 즐겨 갈 수있는 곳도 아니었으니.
어쨌거나 나는 어디서 맥,이 아일랜드사람임을 드러내는 이름이라고 들었을까.
벤허,의 벤은 아들임을 지칭한다는 것은 신부님께 들어 알았는데. 그래서 우리나라에도 벤허들이 수없이 많다고. 난 벤킴...아, 난 아들이 아니구나. ㅡ,.ㅡ 

안젤라의 재,를 읽고 있는 중이다. 지독하게 아일랜드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그 땅의 역사를 잘 알지 못한다는 것이 깊은 공감을 갖지 못할까 걱정되었지만 더블린도 아니고, IRA가 나오는 것도 아니고 북아일랜드와 리머릭의 역사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대공황시기에 영국으로부터 갓 독립을 하였지만 생활이 궁핍한 대가족의 삶이라는 것이 어떠한지에 대해서는.... 그래, 뭐. 그것도 그리 잘 알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프랭크 맥코티가 너무도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는 그의 어린시절 삶의 풍경은 쓸쓸하지 않아서 좋다. 왠지 울고 웃을수밖에 없는 인생은 아름다워를 보고 있는 것만 같아. 

 

 

 

 

 

 

  

 그러고보니 최근에 뉴욕에 관한 다른 책이 나온 것을 알았다. 내가 갈 수 없는 곳을 열망하며 여행을 꿈꾸고 수많은 책을 넘겨 읽기만 하고 있지만. 이 책은 어떨까. 삶의 현실이 담겨있는 곳. 이 세상 어디에나.
그것과는 또 다르게 언제나 낭만으로 꿈꾸고 있는 교토. 궁색한 통장 잔고를 갖고 있지만 그래도 반드시 가보리라 의지를 다지는 곳이다. 그런데 그곳에 가면 뭐가 있다고?
오히려 낭만을 찾기에는 베아트릭스의 집으로 가는 것이 더 나은거 아닐까? 꿈을 꾸는건데 뭐 일본이면 어떻고 영국이면 어떤가. 피터토깽이가 달음박질치는 걸 보지 못한다하더라도 그저 영국땅의 촌구석에서 오후에 홍차한잔을 마시고 있으면 어딘가에서 슬그머나 마플할매가 나타날 것 같지 않은가.
그렇게 생각하면 또 떠오르는 책은 괜히 제목때문에 설레이게 되는 것. 나는 어쩌면 내 우유부단한 성격탓인지 '어렴풋'이라는 단어를 너무 좋아하는지 모르겠어. 그게 아니라면, 이런 말은 정말 챙피한 것이지만 너무도 뚜렷하게 내 꿈을 이야기하라고 하면 드러내 보일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에 그런것일지도. '길' '꿈' '어렴풋'이라는 단어때문에 그냥 좋은거지. 그지? 

뭐...그렇게 다닌다고 한다면 도서관 기행도 좋지 않을까. 아, 이건... 몇년 전 TV를 보다가 세계 곳곳의 자그마한 동네 도서관을 다니며 보여준 다큐프로그램을 떠오르게 한다. 뭐였는지는 모르지만 아무튼 국공립이라는 뽀대나는 모습의 도서관이 아니라 이웃아이들을 불러모으고, 할매가 책을 읽어주고.. 내가 꿈꿨던 나의 도서관을 본 흥분에 여름날의 더위도 잊었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지금은. 난 뭘 하고 있는걸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5-19 10:1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