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데렐라
에릭 라인하르트 지음, 이혜정 옮김 / 아고라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데렐라가 왜 신데렐라인지는 아직도 한참을 더 생각해야만 할 것 같습니다. 저자의 서문을 읽으면서도 도무지 짐작가지 않는 신데렐라를 펼쳐들고 며칠간 전투적으로 읽었습니다.
읽기 쉽지 않은 책을, 때론 한 줄 한 줄 손가락으로 짚어가면서 누구의 이야기가 진행되고 있고, 한번도 마주친 적이 없는 이 주인공들을 이어주는 연결인물은 또 누구이고, 아무 관련도 없는 다양한 상황들이 그물처럼 얽혀있는 걸 파헤치며 그 모든걸 아우르며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을 발견해보리라는 결의를 다지며 읽었지만 맥락의 의미를 찾기보다는 그저 이야기의 흐름을 좇아갈 수 있었을뿐입니다. 왠지 신데렐라를 읽은 나 자신이 먼지를 뒤집어 쓴 재투성이가 되어 세상에 묻혀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많은 페이지를 읽은 후에야 글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이 다원적이고 반향적이며 불안정하다고 할 수 있는 이 소설의 형식은 우리가 현실과 허구를 넘나들면서도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해 주며,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에 대한 탐험과 애도는 우리의자화상을 그리는 걸로 이어집니다"(저자서문)
사실 '많은 페이지를 읽은 후에야 글이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이라는 말밖에 들어오지 않지만 그 뒷말 역시 책을 다 읽고 나면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처음 밑도 끝도 없이 등장하여 아무런 설명도 없이 현재 시점에서 네 명의 등장인물들이 각자 자신의 이야기를 지껄이기(첫느낌은 말 그대로 지껄임으로 느껴졌을뿐입니다) 시작했을 때는 당혹스러웠지만 많은 페이지를 넘기면서 차츰 그들의 특성과 관계성, 상징과 의미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습니다. 물론 책을 덮은 지금도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는 모호함이 있긴 하지만 아주 조금은 구분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대뜸 시작된 그들의 이야기가 페이지를 넘겨가면서 익숙하게 느껴지기 시작할 때쯤 '현실과 허구를 넘나들면서도 균형을 잡게 해'준다는 말에 동의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자본제 사회에서 더 첨예하게 드러나고 유지되는 계급성, 개인의 욕망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음란성, 왜곡된 자화상, 좌파 지식인들의 실체, 폭력과 계층차별 등등 현실의 적나라한 세상을 바라보게 되며 그 현실의 어디쯤에 내가 있는지 생각해보게 됩니다.

책을 읽으며 불편했던 느낌들은 단지 줄바꿈도 없이, 높낮이 없는 이야기를 듣는 것같은 빡빡함때문이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의미는 각자 다른 위치에 있는 네 명의 남자들의 시각으로 바라보고 느끼는, 관음증이 포함된 성적인 욕망과 관계로만 그려지는 것 같아 불편한 느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어쩌면 책을 읽으며 불편한 마음이 들었던 것은 그 모든 것이 우리의 현실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불편한 진실이라는 것은 노동착취와 기아와 빈곤에도 있지만, 자신을 중산층이라 생각하며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면하고 있는 그 모든 욕망과 폭력과 위선과 사회적 모순에도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드는 것입니다.

책에 대한 느낌을 정리해보기 위해 다시 한번 책을 훑어보고 있는데 문득, 처음의 그 불편함은 사라지고 이젠 오히려 몇몇 에피소드에 대해서는 안쓰러움이 느껴지기도 하고 있습니다. 순수함이 조금씩 사라져가는 그를 볼 때, 헛된 욕망을 좇아 무리하게 애쓰고 있는 그를 볼 때, 자신의 참모습을 바라보지 못하고 허황되고 왜곡된 자화상의 거울만을 바라보는 그를 볼 때....
물론 마리 메르시에를 향한 로랑 달의 연정이 배가 사르르 아플때의 복통의 기운이, 그녀의 집에서 실제 복통을 느끼고 실수를 해버린 모습을 볼 때는 내가 더 참담한 기분을 느꼈습니다.

여전히 신데렐라는 왜 신데렐라인 것일까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저자 라인하르트 자신이면서 또한 허구적인 인물인 네명의 등장인물들이 어떤 사람들인지, 어떠한 욕망을 갖고 있으며 그들에게 내재된 모순과 폭력성은 무엇인지 다시 생각해봅니다. 나의 생각에 대한 궁금증과 답은 누구처럼 이 책을 읽을 당신의 몫으로 남겨둡니다.

"철학적이거나 기계적인 내 시스템은 하나의 시선을 포함해. 가상의 시선, 이론적인 시선, 견고한 관점 말이야. 관찰자의 눈의 위치가 중요한 초상화처럼. 경우에 따라 이 관점은 팔레루아얄에 있는 느무르 카페의 테라스에 앉아있는 관찰자의 시선이 되기도 하지. ..... 그걸 신데렐라 시스템이라고 해. 이 시스템의 결과로 꽤 많은 수의 불안한 정신적 자화상이 형성되는 거지. ..... 이 시스템은 나의 축소판이기도 해. 이 시스템이 내가 누구인지를 알려주지....."(571-572)
신데렐라 이야기의 수많은 비유와 이 소설의 대칭점에 대한 설명이 길게 이어지고 있지만 책을 읽는 당신 스스로 찾아보라고 남겨둡니다. 이건 어쩌면 아직 나 스스로 라인하르트가 이야기하는 신데렐라 시스템과 그의 자화상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걸 감추기 위한 변명일지도 모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4-19 1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4-20 20:0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