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부르는 숲
빌 브라이슨 지음, 홍은택 옮김 / 동아일보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연히 흘러흘러 알라딘 서재를 거닐다 지니님 추천도서목록에서 발견한 책으로 기억한다. 그냥.. 재미있을까..? 생각하며 책을 펴들었는데 이 책은 정말 상상 이외의 책이다. 우리의 백두대간을 종주하듯 애팔래치아를 종주하며 느끼는 자연의 위대함, 아름다움.. 스스로를 대견해하는 자랑스러움. 솔직히 그런 이야기가 아닐까 기대를 했는지도 모르겠다. 처음 읽어나가면서부터 '이따위로 준비를 하고 이렇게 걸어가면서 도대체 무엇을 하겠다는 걸까?'라는 실망감으로 책을 읽어나갔다.

어, 그런데 그게 전부가 아닌것이다. 책을 읽어갈수록 점점 더 내게 배낭메고 숲으로 뛰어들어가고픈 충동을 불러 일으키는 것이다. 몇년 전 지리산 등반을 한다고 폼을 잡다가 엉금엉금 기며 손전등에 의존해 야간산행까지 감행하고 비좁은 산장에서 온갖 찌든 냄새와 북적대는 사람들 틈에서 새우잠을 자던 추억이 슬금슬금 떠오르는 것이다. 게다가 브라이슨과 카츠처럼 나 역시 끝내 지리산 정상에 오르지는 못했다. 산행을 하는 것은 고행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즐거움을 위한 것이었기에 도전을 하였고 내 체력이 되는 만큼까지 갔다가 내려왔다는 것을 후회하지는 않는다.

내 이런 경험이 있었기에 이 책이 더 재미있고 실감나게 다가왔는지도 모르겠다. 사실 그들이 너무나 쉽게, 너무나 멋있게 애팔래치아 종주를 하는 이야기를 했다면 거짓말같은 사실에 실망하면서, 나의 못난 모습만을 떠올리면서 책을 덮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빌 브라이슨은 어리버리한 준비와 산행, 더구나 배낭이 무거워 일용할 양식까지 다 던져버리는 친구의 어이없는 모습 묘사까지 숨김없이 다 털어놓는다. 이 책을 읽으면 누구나 배낭메고 산길을 걸어가고픈 충동을 느끼게 되는 이유는 그런 엉망진창인 그들의 솔직한 모습 때문인지 모르겠다.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어쨋거나 우리는 '시도'했다, 라는 말이 맘에 남는다. 성공과 실패가 중요하지 않다. 산행은, 자연속에서 숲을 거닐고 여행을 떠남은 반드시 목적완수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뜻이라 생각이 든다. 그 여행길에서 즐겁고 행복함을 느꼈다면 '시도'했다는 것으로 우리는 훌륭할 수 있는 것이다.

'애팔래치아 트레일이 가르쳐 준게 하나 있다면, 그건 우리 둘 다 삶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낮은 수준의 환희를 정말 행복하게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본문에서 따옴]

아아, 유쾌하게 숲을 거니는 행복을 맛보러 가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