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월든
헨리 데이빗 소로우 지음, 강승영 옮김 / 이레 / 200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자연의 예찬과 문명 사회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 담긴 불멸의 책'
이런 위대한 카피(?)를 달고 필독서라 일컬어지는 <월든>을 바라보기만 하다 드디어 손에 넣고 읽어 보았다. 너무 거창한 광고 카피에 눌려서 그런지 겨우 한번 읽어보고서는 그 느낌을 다 얘기할 수 없겠단 생각이 든다. 전혀 월든에 대한 정보가 없을때엔 스콧 니어링의 삶과 비슷하려니.. 생각했었는데 책을 읽다보니 조금, 아니 조금 많이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의 가치를 평가절하하고픈 마음은 전혀 없다. 겨우 3년여의 생활일뿐이었지만 소로우는 스물여덟살의 나이에 월든 숲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는 소박한 삶을 선택한다. 소로우의 사상이나 실제의 삶, 월든 이후의 삶에 대해 아는 것은 없지만 사실 그것이 그리 중요한 것이란 생각이 들지는 않는다. 어쨋거나 그는 월든 호숫가에서 생활하며 숲에 동화되어 자연의 한 부분으로 생활을 하였고 그 생활의 이야기는 한세기가 더 넘는 시간이 흐른 지금의 나에게도 하나의 위대한 삶으로 여겨지고 있다는것이다.
소로우가 월든 호숫가에서 생활하면서 직접 느끼고 경험한 모든 것들이 그의 깊이있는 통찰에 의해 한세기 반이 넘는 미래의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성찰해보게끔 하기때문에 그가 위대한 것이며 월든은 우리가 읽어봐야 할 필독서가 되어버린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책을 다 읽고 나서 왜 소로우가 월든 생활을 겨우 3년여의 기간으로 끝내버렸는지가 의문스러웠다. 그에 대해 좀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한 걸까? 아직까지는 잘 모르겠지만 그는 자신의 소신대로 생활을 했을것이라 믿는다. 그건 소로우의 월든을 읽고 느낀 것일뿐 다른 이유가 없다.
'나는 결코 남이 내 생활양식을 그대로 따르기를 바라지 않는다. 그 까닭은 그 사람이 내 생활 양식을 제대로 배우기 전에 나는 또 다른 생활 양식을 찾아낼지 모를뿐만 아니라 이 세상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제각기 다른 인간들이 존재해 주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나는 각자가 자기 자신의 고유한 길을 조심스럽게 찾아내어 그 길을 갈 것이지, 결코 자기의 아버지나 어머니 또는 이웃의 길을 가서는 안된다고 당부하고 싶다'[본문에서따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