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현대신서 50
피에르 쌍소 지음, 김주경 옮김 / 동문선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내일, 다시 한 번 나는 내가 아직도 살아 있는 존재로 있을 수 있는 이 행복한 기회를 소중하게 누릴 것이다.'

이 책은 이렇게 끝을 맺고 있다... 책의 제목에서 느껴지는 그 느낌때문인지, 이 책은 최대한 늦게 읽을 준비를 한 것 같다. 책꽂이에 꽂혀서 보낸 시간이 2년이 되어가는 즈음, 추석 연휴를 맞아 이 기회에 느긋하게 책을 펴 봤다. 솔직히 평소 나 자신이 그리 각박한 생활을 해오지 않았었기 때문에 이 책이 주는 느낌은 그리 색다르지도 않았고 열광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은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느림'이라는 것은 단지 개인의 성격의 문제가 아니라 '삶의 선택'의 문제라는 것을 제기하며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지금 각자의 삶에서 무언가를 위해, 목적 달성을 위해 열심히 뛰어가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자. 잠시 차오르는 숨을 고르기 위해 멈춰서는 그 순간에 이 '느림'의 의미를 생각해 본다면, 그때 그에게 이 책은 삶의 의미를 한번 느껴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목표를 향해 뛰어가는 도중에 잠시 숨을 고르는 그 '쉼'의 순간에 앞만 바라보던 눈길을 잠시 돌려보자.

이것은 하나의 계기가 될 뿐이다. 진정으로 행동하는 것은 '삶'을 살아가는 나 자신이다.
문득, 길가에 피어있는 들꽃의 아름다움을 느끼고, 새의 지저귐이 즐겁게 들리고, 여유롭게 길을 거닐며 함께 하는 이들의 미소가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면... 그는 이미 '느리게 산다는 것의 의미'를 알고 있는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굳이 이 책을 읽을 필요는 없을 듯 하다. 그냥 그 시간을 느긋하게 보내면 어떨까.. 멋진 꿈이라도 꾸면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