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 - 선사시대부터 중세까지, 개정판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1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 외 옮김 / 창비 / 199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적허영을 누릴 나이는 지났는데 왜 이 책을 읽으려고 맘 먹었는지 모르겠다는 후회를 하면서도 쉽사리 도중에 관둬버릴 수가 없는 책이었다. 이 책은 단순히 지적 허영심을 만족시키기 위해 읽히는 책이 아닌것은 분명하다. 책을 읽는 중간중간 인터넷을 뒤적거리며 보충설명을 읽어야 그나마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었던 부분들도 많았던 책. 그래서 말 그대로 정신없이 책 4권을 교정을 보듯이 활자체만을 훑으며 지나간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이렇게 정신없이 이해할 수 없는 많은 부분을 흘리면서 느껴야 했던 것은 내가 얼마나 좁은 시야를 가졌었는지, 아니, 3권, 4권으로 넘어가면서 얼마나 한정적인 교육만을 받아왔는지를 처절하게 느끼며 책을 읽어야만 했다. 처음 읽을때부터 많은 부분이 확연해질것이라는 예상을 하지는 않았지만, 오히려 두고두고 몇번씩 읽어봐야 할 책이라는 것을 예상하고 읽기 시작했지만 내 지식과 사회사의 인식에 대한 한계를 너무 많이 느꼈다.

서양의 문학과 예술에 한정되었기 때문에 좀 더 이해하기가 어려웠을지 모르지만 언젠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작가와 작품들에 대한 설명에서 끌어내는 시대경향과 사상의식, 역사의 흐름은 솔직히 내게 어렵게 다가왔다. 그래도 서양문학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들보다 조금 많이 접해왔다고 생각했었는데.. 역시 어려웠다. 이렇게 이해하기 어렵고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 아닌데도 끝까지 읽게 만든 건 무엇일까...또 가끔씩 뒤적거리며 읽게 되리라는 것을 의심치 않게 하는 이 책의 마력은 무엇일까...이해조차 안된다면서도 이것저것 생각할꺼리들을 노트해놓게 만드는 것은 또 무엇인지...

말로 설명하기는 힘들지만 이 책 안에는 수많은 것이 담겨있다. 그렇기때문에 다소 어렵게 생각이 드는 사람에게도 권하고픈 책이다. 물론 재미있다며 술렁술렁 넘기는 위대한(?) 사람들에게는 내가 한심스러워보일지 모르겠지만.... 그리고 또 하나. 이 책의 제목에 나와있는 '예술'이라는 말에 주눅들지는 말자.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라는 책은 다음과 같은 말로 그 끝을 맺고 있으니...

[우리의 과제는 다수 대중의 현재 시야에 맞게 예술을 제약할 것이 아니라 대중의 시야를 될 수 있는 한 넓히는 일이다. 참된 예술 이해의 길은 교육을 통한 길이다. 소수에 의한 항구적 예술독점을 방지한느 방법은 예술의 폭력적인 단순화가 아니라 예술적 판단능력을 기르고 훈련하는데 있다....예술을 누구나 똑같은 정도로 즐기고 이해할 도리는 없지만 좀 더 폭넓은 대중의 참여가 확대되고 심화될 수는 있다. 문화적 독점을 해소하는 전제조건은 무엇보다도 경제적이고 사회적인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전제조건을 만들어내기 위해 싸우는 수밖에 없다] 4권 p324

어떠한 방식으로 싸울것인가.. 그것은 우리 각자에게 주어진 과제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