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런 책을 읽어 왔다 - 다치바나 식 독서론, 독서술, 서재론
다치바나 다카시 지음, 이언숙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내 책읽는 속도로 봐서는 며칠 걸릴 줄 알았는데, 예상외로 넉넉히 이틀에 읽을 수 있었던 책. 나름대로 재미있었고, 정말 눈에 멍들만큼 딱딱한 책들을 마구마구 읽어봐야지 라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었다. 단순히 개인의 책읽기 습관쯤 되는 책이려니..라는 가벼운 생각으로 책을 집어들어서인지 훨씬 재미있었던 것 같다. 습관적으로 행해왔던 독서 습관을 돌이켜보면 다치바나가 말하는 독서술의 초보적인 단계를 거친것같기도 하고... 대학다닐때 입문서적인 사회과학서와 신학서적을 좀 읽은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다치바나식 독서술에 대해 동의할 뿐만 아니라 그 대단함에 감탄까지 하며 책을 읽었다.

물론 누구나 다 다치바나식으로 책을 읽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취미삼아 재밌어서 책을 읽는데 펜으로 밑줄 좌악 그어가며, 수학공식을 풀듯이 책을 읽는다면 책읽기의 즐거움이 아니라 책읽기의 고역이 될뿐이니.. 다치바나의 '실전에 필요한 14가지 독서법'이 있는데, 책을 읽기 전에는 뭔가 맞지 않는 부분도 있는듯 했지만 취미를 위한 독서와는 무관한 일과 일반교양을 위한 독서와 관련된 독서법이라는 설명에 전적으로 경의를 표하게 된다.

또한 본문에 잠깐 언급된 '서평'에 대한 이야기. '그 책을 직접 볼 기회만 있었다면 분명 샀을 사람과 만나 볼 여유조차 얻지 못하고 사라져 버리는 책이 너무 많다. 적어도 이처럼 책이 만나야 할 사람과 만날 수 있도록 기회를 만드는 것이 서평이 해야 할 가장 큰 역할이라고 생각하므로 책을 깎아 내리는 일은 되도록 하지 않고, 단지 그 책을 한번 펼쳐보고 싶은 마음이 생기도록 글을 쓰려고 한다'는 다치바나의 이야기에 공감을 하며 '책과 사람을 만나게' 해 주는 서평이 참으로 중요하고 또한 멋있는 일이구나 감탄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