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 마음이 그림과 만날 때 감상은 대화가 된다
이주헌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10월
평점 :
이 책은 그림에세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림에 대한 감상뿐만 아니라 예술가의 생애와 당대의 문화,역사적인 배경이 그림의 표현 - 예술사조에 대한 것뿐만 아니라 시대에 대한 풍자라거나 전쟁에 반대한다거나 하는 상징성까지 설명을 하고 있어서 그림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들을 쉽게 접해볼 수 있게 해 주고 있다.
"평가란 계속 변하는 법입니다. 예술가와 예술 작품에 특정 시대의 잣대를 들이대며 위계적으로 평가하고 감상하는 것은 사실 그다지 예술적이거나 문화적인 태도가 아닙니다.
감상자로서 우리는 그때그때의 영양 상태와 입맛에 따라 식사메뉴를 정하듯, 우리 영혼의 필요에 따라 적절한 작품을 감상하고 감동을 얻으면 그만입니다. 뵈클린이 20세기 초 선풍적인 인기를누린 것은 그의 예술이 그 시대의 사람들에게 그만큼 큰 호소력을지녔기 때문입니다. 미술사에서 평가가 어떻든 그의 그림은 분명시대를 불문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가던 걸음을 멈추고 죽음과 인간의 실존에 관해 진지하게 성찰하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232)
뭔가 예술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예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처음으로 느끼게 해 준 글이 이주헌님의 글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이 그림이 뭐가 그리 대단한가 싶어 보지만 별 감흥이 없다거나 뭘 나타내려고 했는지 모를 때 예술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없는데 아이에게 설명해주듯 친절하게, 정답이라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상징을 이야기해주거나 시대적 배경을 설명해주고 있어서 저자의 설명을 읽고 그림을 다시 보면 또 색다른 느낌으로 다가오기도 한다. 그렇다고 저자의 이야기가 '정답'인 것은 아님을 알고 있어서 그냥 슬그머니 도움을 받는 정도의 글로 생각하면 된다.
무엇보다도 개인적으로 오래전부터 이주헌님의 많은 글을 읽었었고 - 그래서 사실 이미 익숙한 글들도 많았지만, 여전히 저자의 글은 친절하고 자상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에 더하여 예술작품이 나와 동떨어진 무엇이 아니라 우리의 일상에서 늘 접해보는 것일수도 있음을 느끼게 해 준다. 사실 예전에 나는 모네의 그림을 볼 때마다 그 흐릿한 경계선이 와닿지 않아 모네의 그림이 좋다는 느낌을 가질 수 없었다. 그런데 그의 다른 작품들을 보다가 어느 순간 그 찰나의 반짝거림을 본 것 같은 느낌이ㅣ 들었을 때, 그래서 모네의 그림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있는걸까 라는 생각을 했었다.
예술작품의 감상이라는 것은 정답이 없고 '그때그때 우리 영혼의 필요에 따라 작품을 감상하고 감동을 얻으면 된다'는 말에 동감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어쩌면 지금 이 순간 내 기억에 남는 것은 앙리 루소의 그림들이며, 한번도 열대우림에 가본적이 없지만 그곳의 분위기를 그보다 더 잘 그려낼 수는 없으며 그 자신의 삶 역시 자신감이 넘치는 - 프랑스 정부가 잘못보낸 훈장을 내가 받았으니 돌려줄 수 없다며 반환을 거부하고 뱃지를 달고 다녔다는 당당함(뻔뻔함이 아니라)과 자신감은 나도 좀 따라 배워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간혹 도슨트나 전공자들의 설명을 들으면 전문적인 지식의 전달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는데 그런 경우 그림의 이론 공부를 하는 것 같은 느낌이라면 이주헌님의 글은 그림을 통해 예술가의 삶을 생각해보게 되고 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시대의 모습에 대해 고민해보게 되고 나 자신의 삶의 모습은 어떠한가 성찰해보게 한다. 그만큼 그림을 보는 감상이 자신의 삶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