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열두 달 - 고대 이집트에서 1년 살기
도널드 P. 라이언 지음, 우진하 옮김 / 타인의사유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이집트에서 1년 살기는 어떤 느낌일까?

이 책은 고대 이집트의 역사를 소설로 엮어 쓴 팩션,이라고 할 수 있다. 기록된 역사를 확인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인데 고대사를 이야기로 엮는다니, 너무 흥미로울 것 같았다. 미시사와 거시사가 하나의 글 안에 1년 살이의 팩션으로 엮였다니 어떻게 표현할지 너무 기대되었다. 그런데 성급한 결론을 이야기하자면 나는 그냥 소설이거나 역사서이거나 에세이로 고대이집트의 1년살이를 상상해보는 것이 더 내 취향일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팩션이라는 소설의 형식이지만 설명처럼 들어간 내용이 좀 어정쩡한 느낌이랄까. 하지만 이건 취향의 문제이니 이 책이 재미없다,라고 판단할수는 없다. 


취향의 차이라고는 했지만 책의 내용을 떠올리다보면 "이야기로 들여다보는 고대 이집트인의 생생한 생활상"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깨닫는 정도가 아니라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것 같은 흥미진진함도 담겨있다. 

한가지를 언급해보자면 가나안의 혼인잔치와 이집트병사의 원정이야기이다. 가나안의 혼인잔치,라고 하면 성경이 먼저 떠오르지만 이집트의 번영이라기보다는 당대에 피지배자의 모습으로 살아가야했던 사람들의 모습과 지배자라고는 하지만 이집트의 하층계급인 일반 병사가 겪게 되는 이야기는 상상이 아닌 현실같은 묘사여서 이 책의 묘미는 이런 것인가 싶었다. 

상업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막강한 이집트가 주위의 모든 지역을 다스리고 있지만 국경 너머 변방의 지역에 갔을 때 지역민들에게 오히려 피습을 받아 목숨을 잃기도 하는 병사의 이야기는 다소 충격적이기는 했다. 하지만 예전에 성경속에 묘사된 모세가 광야를 헤매고 다니며 약속의 땅으로 갈 때 관점을 살짝 비틀어보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그렇게 생각해본다면 힘없이 죽임을 당하는 이집트 병사의 모습이 더 현실적이지 않을까 싶다. 수십만의 히브리인이 떼를 지어 다니면 그 세력이 엄청났을 것이며 그들이 지나쳐가는 마을에서 숙식을 해결하기 위해 온갖 약탈이 있지 않았을까, 그들의 세력이 오히려 이집트의 지배력을 능가했을지도 모른다라고 생각하면 이 책의 내용들이 더 현장감있게 느껴지는 것이다. 


피라미드 공사를 위해 노동력을 착취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나일강의 범람하는 시기에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농민들을 위해 국가 세금으로 노역을 시켜 먹여살렸다는 또 다른 관점이 있는 것처럼 역사 속 세부적인 이야기들을 알게 되면 그 시대를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지게 된다. 

'들어가며'를 통해 이 책에서 언급하고 있는 이집트 역사의 시기와 우리에게 잘 알려진 왕조사를 간략히 설명해주고 있는데 이 부분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무작정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미시사 역시 거시사 속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깨닫고 있다. 


책에 대해 정리를 하다보니 각각의 에피소드에만 집중을 해버려서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지 못한 것도 내가 이책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며 읽었고 그래서 역사적 생동감을 느끼지 못해 애꿎은 취향탓을 하며 재미없었다고 말한 것의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고보니 시간을 내어 천천히 재독을 해 본다면 이 책은 정말 흥미로운 이야기 가득한 이집트에서의 1년살이가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