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드 ˝신의 길에서 행하는 투쟁˝
지하드Jihad, 즉 신의 길에서 행하는 투쟁jihad fi sabil allah˝ 은 항상 논란이 되는개념이다. 쿠란에서 말하는 지하드는 예배와 인내, 경건하고 신실한 삶 등 신을 위해 헌신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지만, 적과 불신자에 맞서 싸우는행위가 특히 강조된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중세 무슬림 법학자 대부분은 지하드를 물리적인 전투와 전쟁과 관련하여 이해했다. 지하드는 정복전쟁을 단순한 약탈이 아니라 신에 대한 의무를 수행하는 성스러운 행위로 만들었고 목숨을 잃더라도 천국에서 보상을 받을 수 있다는 약속을 주었다.
지하드는 아마도 알카에다와 이슬람국가 등 오늘날의 극단 이슬람주의 무장조직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개념일 것이다. 민간인에 대한 무차별적인 테러는 그들에게는 성스러운 전쟁이다. 비무슬림뿐만 아니라 자신들이 불신자로 규정한 무슬림들에 대한 테러 또한 신의 길에서 수행하는투쟁으로 정당화된다. 지하드에 관한쿠란 구절, 불신자에 대한 전쟁을 지하드로 규정한 법학자들의 전통적인 해석이 극단 이슬람주의 무장조직의행위를 정당화하는 근거가 된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내면의 악과 싸우고 선행을 추구하는 지하드, 즉 대 지하드를 무력을사용하는 지하드인 소지하드와 구분하기도 한다. 이에 따르면 ‘진정한지하드는 대 지하드이다. 따라서 극단주의 무장조직이 말하는 지하드는
‘진정한 지하드에서 벗어난, 지하드의 왜곡된 형태다. 하지만 이 주장 역시 대 지하드‘라는 개념이 10세기 이후에야 등장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무함마드가 전투에서 돌아온 무슬림에게 ˝소 지하드에서 대 지하드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는 이야기는 알바이하키Al-Bayhaqi (1066년 사가 수집한 전승에서 처음 나타나며, 수니파 법학자 대부분은 이 전승을받아들이지 않는다. 데이비드쿡David Cook은 대 지하드와 소지하드의 구분과 비폭력적인 수단을 통한 지하드라는 개념이 역사적으로 존재하기는했는지 의문을 던진다.
그러나 군사적 지하드가 곧 무분별한 폭력과 끝없는 전투를 의미하는2728것은 아니었다. 이슬람 법학이 정립되는 과정에서 지하드를 포함한 군사행위에 관한 규범도 점차 정립되었다. 지하드는 언제 선포되어야 하는가?
지하드는 곧 이슬람의 땅을 넓히기 위한 공격 행위를 말한다고 보는 학자들도 있었지만, 수프얀 알사우리Sufiyan al-Thawri (778년 사망), 말리크 이븐 아나Malikibn Anas (795년 사망)와 같이 무슬림 공동체가 외부의 위협을 받을 때에만 지하드가 무슬림의 의무가 된다고 보는 법학자들도 있었다. 극단 이슬람주의 조직의 이념에 큰 영향을 미친 이븐 타이미) Ibn Taymiyyah(1328년 사망마저도 지하드는 불신자들이 먼저 공격할 때 방어를 위한 전쟁이라고 규정했다. 쿠란에서도 무슬림은 공격을 받을 때만 맞서 싸워야 하며, 그럴때도 결코 선을 넘어서는 안된다고 말하는 구절이 있다(2장 190절). 쿠란주석학자들은 이 구절을 무슬림이 먼저 공격하는 것을 금지하는 의미로 이해했다. ˝무슬림이 먼저 비무슬림을 상대로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금지하는구절들이 폐기되었다는 견해도 있지만, 모든 학자가 이에 동의하는 것도아니었다.
법학자들은 민간인을 공격하지 않고 고의적인 파괴와 약탈을 금지하는규범에 따라 이루어지는 정당한 전쟁인 지하드와 무차별적인 파괴와 폭력을 수반하는 히라바hirabah를 구분했다. 이에 따르면 지하드는 오직 적법한절차를 거친 통치자만이 선포하고 엄격한 규칙에 따라야 하며, 그렇지 않31은 전쟁은 히라바에 불과했다. 이런 의미에서 오늘날 극단주의 조직이 자행하는 테러 공격은 이슬람법 샤리아의 기준에서도 정당한 지하드가 아니라 불법적인 히라바인 것이다.
쿡의 주장과는 다르게 인내하고 올바른 삶을 살아가는 행위도 지하드라는 인식이 무슬림 사이에서 존재하지 않은 것도 아니었다. ‘대 지하드‘라는 말은 없었을지 몰라도 ‘칼로 수행하는 지하드jihad al-say‘와 구분되는 ‘영혼으로 수행하는 지하드ihad al-nats‘ 라는 개념도 중세 이슬람권에 존재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신학자 알가잘리Al-Ghazali (1111년 사망), 법학자 알자우지Al-Jawziyyah 1350년 사망)는 내면의 싸움과 인내를 최상의 지하드로 보았다.˝
이슬람은 폭력을 조장하는 종교인가? 쿠란은 비무슬림에 대한 폭력과적의를 말하는가? 지하드는 무슬림이 비무슬림을 상대로 벌이는 끝없는전쟁인가? 어떤 점에서는 맞다. 쿠란과 이슬람 전통 내에는 분명히 타자에대한 폭력과 적의를 정당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요소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간과하고 극단주의와 테러를 ‘진정한 이슬람‘에서 벗어난 왜곡된 모습으로 치부하는 것은 이슬람을 폭력과 야만의 종교로 단정하는 것만큼이나 위험한 해석이다. 결국 두 관점 모두 이슬람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성격과 해석 중 원하는 것만을 선택해서 그것이 이슬람의 ‘본질‘
이라고 주장한다는 점에서는 다르지 않다.
그러나 이슬람의 방대한 전통에는 알카에다와 IS의 테러를 정당화하는근거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 종교 간 평화와 공존, 관용과 대화를 가능하게하는 해석과 견해도 있다. 이슬람에 대한 편협하지 않은 이해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이슬람 내에 다양한 해석과 견해, 관점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