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다례 - 찻잔에 담긴 맛과 멋
성균예절차문화연구소 지음 / 파라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감다례는 '찻잔에 담긴 멋과 맛'이라는 부제가 달려있는 것처럼 찻자리의 멋과 예의, 차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과 맛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있는 책이다. 

기본적으로 차의 종류나 차도구들에 대한 설명이 있는데 실제 사진이 담겨있어 확실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좋은 것 같다. 흔히 '차'라고 하면 녹차를 먼저 떠올리게 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녹차뿐만 아니라 백차, 황차, 청차, 홍차, 흑차는 산화와 발효에 따른 분류를 한 것이며 그 각각의 차는 또 세분하여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고 있어서 기본 지식이 쌓이는 느낌이 든다. 물론 찻잎을 따는 시기와 찻잎의 모양에 따른 구분도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산화와 발효에 따른 구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것 같다. 최근에 우연히 보이차도 생차와 숙차로 구분할 수 있다고 알게 되었는데 이 보이차가 곧 흑차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인지 흑차의 하나가 보이차인지 명확한 설명은 없지만 보이차는 흑차에 속하는 차의 하나가 아닐까 싶다. 


차나무의 기원은 중국과 인도의 기원설이 있었지만 최근 최고령 차나무와 2억오천만 년 전 추정 찻잎 화석까지 발견되어 중국 운남성이 그 근원지로 인정받고 있다. 차나무는 지역에 따라 강우량과 일조량, 토양에 따라 맛이 달라질 수 있으며 찻잎을 어떻게 가공하느냐에 따라서도 차의 종류와 맛이 달라진다. 덖음과 유념을 반복하여 건조하여 만드는 한국의 차와 다양한 살청방법을 사용하는 중국, 증제차 비율이 높은 일본의 녹차 비교도 흥미로웠다.

차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을 읽고 있으니 차를 마실 때도 조금 더 세세하게 구분하여 마시면 그 맛과 향을 즐기며 또 다른 멋을 낼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차의 이론적인 이야기에 이어 우리 역사 속 차인 이야기는 역사적 인물들의 이야기와 인연, 우정을 나누는 이야기, 찻자리에 초대받았을때의 예절과 초대를 하는 예절까지 상세히 설명하고 있어서 차에 대한 많은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책이어서 누구나 한번쯤 관심을 갖고 읽으면 좋을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