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사람 만드는 사람 파는 사람 - 영국의 책사랑은 어떻게 문화가 되었나
권신영 지음 / 틈새의시간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국 도서관이 미래로서 제시한 책, 갤러리, 정원, 그리고 인공지능. 이들은 어떤 화학 작용을 일으킬까. 아마도 책은 퇴물보다 보물이 될 것 같다."(324)


책장을 덮으면서 왠지 모르게 '책은 보물이야'라는 생각에 마음이 설레버렸는데, 잠시 마음을 가다듬고 시간이 지난 후 다시 생각해보니 정말일까? 싶어진다. 코로나로 인해 북페스티벌이 취소되고 고서점이 힘들어진 상황에서 폐업위기에 놓인 서점을 살린 것이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라는 이야기를 읽으며 정말 책이 보물이야, 라고 생각하다가 문득 스티븐 호킹의 사망 후 그의 책들을 받아 판매를 하고 서점이 살아난 것인데 실상 책의 원소유주에게는 그 책이 보물은 아니지 않은가 라는 생각에 미치자 난감함이 느껴진다. 아니 애초에 '보물'이 무슨 의미를 갖는 것인가,를 생각해봐야할까?


이 책은 독자와 출판사와 서점의 상관관계를 이야기하고 있는 책이라 생각했다. 책읽기를 즐겨하는 사람으로서 한 권의 책이 만들어지고 독자에게 읽히기까지의 과정을 이야기하는 책이 아닐까 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책을 펵쳤는데, 그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인문학 책이다. 왜 굳이 영국의 이야기일까 라고 딴지를 걸어보고 싶어도 셰익스피어에서부터 시작하여 디킨스, 제인 오스틴, 브론테자매, 코난 도일, 애거사 크리스티, 톨킨, 키플링, 버지니아 울프, 조지 오웰 그리고 해리포터를 쓴 롤링에 이르기까지 - 사실 저자가 언급한 저자들을 나열했는데 그 누구 하나 빼놓을수가 없다. 내가 꼭 언급하고 싶었던 작가들이고 내가 좋아하는 작가들이고 무엇보다 여성작가들은 또 빼놓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무튼 영국의 문화, 특히 책에 대한 이야기지만 보편타당한 이야기들로 받아들일 수 있는 그런 이야기책이다. 


저작권의 역사, 전문 서평가인 조지 오웰의 서평에 대한 이야기, 글자를 알지 못하지만 책을 듣는 어린이들과 그들에게 책을 읽어주는 조금 큰 아이들의 이야기들은 그 자체로도 흥미로웠다. 책 읽어주는 할머니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던 그 시작이 아주 오래전에 티비 특집 프로그램에서 본 외국의 작은 도서관에서 시행하는 책 읽어주는 프로그램을 보고난 후였다. 영상매체가 아무리 발달하고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영국은 고학년이 저학년에게 책을 읽어주는 프로그램도 있고 모두가 그것을 좋아한다는 것이 좀 부럽기도 하다. 


여러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읽었지만 그중에서도 지금의 나를 생각해보게 하는 건 '좋아하는 작가가 누구니?'였다. 책을 왜 좋아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는 나름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좋아하는 작가에 대해 어떤 말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해보면 그저 막연한 이야기뿐이다.어린시절엔 오히려 더 쉽게 말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까 싶어지는 것이다.

책 읽어주는 사람, 공공도서관의 순기능, 오랜 공간이 갖는 의미, 하나의 문화유산으로 도서기증을 하고 개인서가를 기증하여 공공도서관으로 만드는 것 등의 문화는 "책과 정원은 영국스러운 아이템의 만남'(334)이라는 말과 찰떡같이 느껴지는데 이런 것이 꽤 매력적이고 조금은 부러운 마음도 생긴다. 

이렇게 책의 내용을 정리하다보니 다시 글의 첫머리로 돌아가게 되는 느낌이다. "아마도 책은 퇴물보다는 보물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