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자 인간 - 오야부 하루히코 문학상 수상작
츠지도 유메 지음, 장하나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림자 인간'은 사귀고 있던 남녀가 이별을 통보하며 벌어진, 요즘 많이 발생하고 있는 연인간의 범죄이야기로 시작하고 있다. 별 생각없이 그 사건이 이야기의 중심이려니 하고 있었는데 사건의 피의자가 무호적자라는 것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이별을 고한 남자친구를 칼로 찔렀다고 순순히 자백한 하나는 막상 경찰서에 가서는 그 자백을 부인하며 범인이 아니라고 주장해 증거불충분으로 풀려난다. 그녀에 대한 의구심을 떨치지 못하고 하나의 뒤를 쫓던 경찰 리호코는 노숙자로 알고 있던 하나가 창고이기는 하지만 공장 안쪽의 독립된 공간에서 여러명의 사람들과 공동생활을 하고 있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런데 뜻밖에도 그들은 모두 무호적자이며 무호적3세인 아이 미라이까지 열여섯명의 사람들이 수십년을 그곳 폐쇄된 곳에서 살고 있었다. 

그런데 그보다 더 놀라운 사실은 하나와 그의 오빠 료가 공장부지에 버려진 시기 즈음에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새남매 - 친모로부터 유기되어 새들과 함께 자라 새장속의 새와 같은 행동을 보였던 남매는 구조가 되어 복지시설에서 잘 지내는 듯 했으나 어느 날 갑자기 유괴되어 세상에서 사라져버린 사건이 있었는데 그 사라진 새남매가 하나와 료 남매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과거의 유괴사건과 현재의 무호적자들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이 소설의 핵심인가 싶었는데 이야기는 또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기 시작한다...


사회파미스터리일까 싶은 마음으로 책을 읽기 시작하다가 '문학상 수상작'이라는 것이 떠오를만큼 미스터리 요소가 사라진다. 그러다가 또 이야기는 어느새 미스터리를 떠올리게 하는 반전의 반전으로 흘러가고 이 이야기의 끝이 무엇일지 궁금해진다. 


"전 지금까지 경찰로서 일반 사회에서 여러 가지 규칙을 따르며 살아왔어요. 규칙을 지키는 사람들이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법이나 조례에 근거해 범죄자를 잡는 게 제 일이자 사명이었죠. 하지만 이번 일로 뼈저리게 느낀게 있어요. 제가 믿었던 일반 사회는 전혀 완벽하지 않았구나, 나는 수많은 법률과 규칙을 만들어낸 사회 자체를 의심했어야 했다고요."(410)


책을 다 읽은 지금, 이 문장이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여러 생각을 하게 된다. 법 제도 안에서 보호를 받고 당연한 권리를 행하고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것들이 정말 많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사실 최근 제주4.3사건 이후 무호적자인 분들이 많다는 것을 알고는 있었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무호적자들이 그렇게 많다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었다는 것도 이번 기회에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영아 유기 살해, 매매 같은 흉흉한 사건들이 밝혀지기 시작했는데 이것은 그나마 병원에서 출생해 그 존재를 찾아볼 수 있는 것이지만 이 역시 제대로 된 조사를 하지 않으면 출생신고조차 하지 않은 경우 이후의 대안이 없는 것이다. 


법제도의 헛점과 자신들의 처지 개선을 위해 노력을 해보고 싶어도 자신들을 위한 법제도를 제대로 이용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이야기들도 너무 공감이 되는 이야기들이었다. 결국은 끝이 좋으면 다 좋다,라는 말을 생각나게 하는 지극히 소설적인, 아니 이 소설이 픽션이 아닌 논픽션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의 무호적자들에 대해 한번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의미를 떠올려보게 되기도 했다. 내가 스스로 찾아보면 되기는 하지만 일본의 제도와 비교해 우리나라의 무호적자들에 대한 지원은 어떤지 역자의 말이나 편집자주가 있었다면 더욱 좋았겠다는 생각도 잠시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