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라리움
이아람 지음 / 북다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테라리움,은 유리같은 투명한 용기 안에 흙을 넣고 그것의 영양분과 외부에서의 빛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을 일컫는 말로 알고 있다. 그러니까 테라리움은 투명한 그릇안에 담겨있는 작은 식물의 세계 같은 느낌이 드는 것,이라고 생각할 때 이 소설의 제목을 듣고 지구와는 다른 미래 세계, 식물이 지배하는 그런 미래를 떠올리게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 아닐까.


소설의 시작은 지구 멸망 - 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에 의해 생명체가 사라져버린 지구에서 살아남은 소년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단단하게 건설된 벙커안에서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소년은 점차 그 좁은 공간안에서의 생활을 못견뎌하고 벙커 밖의 세상을 궁금해하기 시작한다. 소년이 만날 수 있는 사람은 어머니가 유일하며 그녀는 아들에게 생존에 필요한 수많은 주의사항을 알려준다. 


벙커 밖의 세상에 대한 궁금증이 가득한 소년에게 테라리움을 건네주며 테라리움 안의 생명체가 순환을 통해 스스로 생명을 유지해나가는 모습을 설명해주고 있는데, 이 이야기가 전체적인 이야기의 핵심 주제일까,라는 생각을 잠시 했었다. 미리 앞서가는 이야기를 설명해보자면 - 이 소설에서 암시하고 있는 내용들, 뭔가 말하고자 하는 이야기에서 테라리움을 통해 말하려고하는 세계관을 찾아보는 것이 이 소설의 묘미일까 싶었는데 이야기는 또 다시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기 시작한다. 

사실 그래서 소설 '테라리움'을 읽었지만 미래 세계에 대한 희망은 무엇일까, 난감해지기 시작해버렸다.


벙커안의 안전한 세상에서 살아가다가 열병에 걸린 이후 사라져버린 어머니를 찾아 벙커 밖의 세상으로 나가는 것이 시작인데, 생존과 존재의 의미에 대한 이야기일까 라는 생각을 잠시 해보게 된다. "새로운 세상에는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소년은 세상이 변화를 겪을 때 아무것도 하지 않고 주저앉아 있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11)

그렇게 어머니를 찾아, 또 한편으로는 생존의 의미를 찾아 떠나는데 그곳에서 찾은 죽음과 세상의 죽음을 초래한 어머니의 존재와 맞닥뜨리게 되는데......

새로운 세상의 존재와 삶은 어떻게 이어지게 될지 궁금함에 계속 책장을 넘기게 되기는 하지만 그리 쉽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다. 헨리에타는 오히려 익숙하다고 할 수 있지만, 개와 고양이, 죽음은 선뜻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기에 더욱 그랬다. 모든 것이 끝난 미래 세상의 끝 숲에 어린 생명은 또 어떤 이야기를 이어갈지 궁금하다. 그것이 '희망'과 같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