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슬픔의 거울 오르부아르 3부작 3
피에르 르메트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대 소녀시절부터 쥘 씨의 식당에서 서빙 일을 해 오던 루이즈는 어느 날 단골손님인 의사에게서 '당신의 벗은 몸을 보고 싶다'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이렇게 시작하는 이야기의 끝은 무엇일까, 아무리 생각해봐도 어떤 이야기가 전개될지 짐작조차 할 수 없는데, 책을 다 읽고난 후에도 어떻게 이런 이야기가 나오지? 라는 생각을 멈출수가 없다. "악마 같은 플롯을 지닌 책"이라는 르 파리지앵의 평은 인정할수밖에 없겠다는 생각도.


소설은 1940년 4월 6일에서부터 6월 13일까지, 초등학교 교사인 루이즈와 군인인 가브리엘과 라울, 페르낭 그리고 내게는 사기꾼(?)으로 여겨졌던 테지레의 이야기가 교차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범인을 찾는 추리소설도 아닌데 소설의 줄거리를 풀어놓는 것이 쉽지 않다. 등장인물들 각자에게 숨겨져있는 이야기를 독자인 내가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런 순간 또 다른 이야기가 펼쳐지기 때문이다. 


소설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파리가 독일군에게 습격당하며 점령되는 그 짧은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실제로 등장인물들의 삶을 들여다보는 것은 전쟁이 일어나기 훨씬 전부터 시작된다. 루이즈의 가정사에 얽힌 이야기는 그렇게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현재를 떠올리게 하지만 라울과 가브리엘의 이야기는 현재의 이야기를 이어나가며 과거에 얽매이던 것이 어떻게 풀릴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그리고 페르낭의 이야기는 부인 알리스와 꿈꾸던 세상을 이루기 위해 현재의 자신을 부정해야하는 딜레마에 빠지며 그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미래의 세상이 무엇인지를 생각하게 해준다. 그리고 테지레, 엉터리 라틴어 미사를 하는 우리들의 신부님 이야기는 정말 절대 그를 미워할 수 없게 만든다. 


'끝이 좋으면 다 좋다'라는 셰익스피어의 이야기를 떠올리지 않아도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소소한 에피소드들이 전쟁의 참상을 이야기하면서도 인간성을 잃지 않는 모습이 감동이다. 비겁한 야바위꾼처럼 보이지만 그에게도 인간에 대한 사랑이 넘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자신의 아이가 아니지만 그 아이들을 위해 걸인이 되기도 하고 도둑이 되기도 하며 당당하게 협박을 하여 생존을 이어나가기도 하는 모습은 인간의 아름다움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한다. 

이 모든 것이 '우리 슬픔의 거울'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어낸것 아닐까. 더구나 등장인물들의 뒷 이야기를 상세히 풀어주는 친절한 피에르씨의 에필로그 역시 얼마나 좋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