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이런것들을 바라볼 테고, 그러다가 바라보기를 그만둘 것이며, 그 뒤에는 살던 대로 살아갈 것이다. 집단학살 관광산업은 공공의 역사를 민간의 상품으로 탈바꿈시킨다. 과거는 집으로 가져갈 수있도록 찢어낸 입장권과 사진으로, 경험 그 자체라는 기념품으로 포장된다.
크메르루주가 자신들이 저지른 행위를 기록으로 남기는 데 집착한 덕에 이들의 악행을 낱낱이 밝히기는 수월하다. 온갖 사진, 죄수들의 머리를 처박은 물탱크, 교수대 같은 것들로 크메르루주는 스스로를 효율적으로 화형에 처한 셈이다.
나는 이곳의 상처를 전혀 모른 채 이 땅을 돌아다니기보다는 그 상처를 눈으로 보는 게 낫다는 생각으로 스스로를 다잡았다.

스리랑카를 찾기 1년쯤 전에 나는 보조강사로 일해 모은 돈으로 캄보디아에 사는 친한 친구를 만나러 갔다. 프놈펜에 도착해 가장 먼저 찾은 곳은 옛 크메르루주 감옥인 투올슬렝이었다. 세 채의 콘크리트 건물 속 상자식 감방들에는 아직도 녹슨금속제 침대 프레임, 오래된 쇠고랑, 전기고문에 사용한 전압상자가 남아있었다. 감옥, 아니면 1만4000명이 들어왔다가 단 일곱 명이 살아서 나간, 무어라 이름 붙여야 할지 알 수 없는 장소가 되기 전에는 학교였던 건물이다. 바닥에는 핏자국이 남아 있었지만 그 피를 흘린 몸을 가진 사람들의 이름을 알려주는 꼬리표는 없었다. 위층 발코니에 달린 가시철조망이 번들거렸다. 툭툭 기사들은 이곳에 유령이 들끓는다고, 밤에는 근처에 오기를 꺼렸다. 가이드북에는 이렇게 쓰여 있었다. "투올슬렝에 다녀오지 않고는 프놈펜 여행을 마쳤다고 할 수 없다." 여기서 마쳤다는 표현은 무슨 의미일까. 아마도 시아누크빌의 파라솔 가득한 해변, 나무동이에 담긴 럼을 들이켜거나, 앙코르와트에서 세피아 톤으로 물든 인스타그램 사진을 남길 자격을 얻기 전에 이곳 역사에 이땅에 남은 상처에 관하여 응당 치러야 하는 몫이 있다는 뜻인 모양이었다.
내가 투올슬렝에 갔을 때는 많은 이들이 야자수와 철조망 사진을 찍어대고 있었다. 다들 땀범벅이었다. 뜨거운 날씨여서 탄산음료 노점이 성황을 이뤘다. 나도 목이 말랐지만 다이어트 콜라를 들고 죽음의 전당을 걷고 싶지는 않았다. 탄산음료를 샀든 사지 않았든 당연한 모독을 피할 길은 없었다. 우리는 모두 이런것들을 바라볼 테고, 그러다가 바라보기를 그만둘 것이며, 그 뒤에는 살던 대로 살아갈 것이다. 집단학살 관광산업은 공공의 역사를 민간의 상품으로 탈바꿈시킨다. 과거는 집으로 가져갈 수있도록 찢어낸 입장권과 사진으로, 경험 그 자체라는 기념품으로 포장된다. 크메르루주가 자신들이 저지른 행위를 기록으로 남기는 데집착한 덕에 이들의 악행을 낱낱이 밝히기는 수월하다. 온갖 사진, 죄수들의 머리를 처박은 물탱크, 교수대 같은 것들로 크메르루주는 스스로를 효율적으로 화형에 처한 셈이다. 나는 이곳의 상처를 전혀 모른 채 이 땅을 돌아다니기보다는 그 상처를 눈으로 보는 게 낫다는 생각으로 스스로를 다잡았다. 족쇄가 박힌 기울어진 널빤지와 그 옆에 놓인 물뿌리개를 보는 게, 크리스티안아만푸어가 물고문이 고문에 포함되느냐를 놓고 조지 W. 부시의연설원고 작성자와 벌이던 언쟁을 떠올리는 게 낫다고 말이다. A 건물 1층 벽보판에 일렬로 붙은 사진들 속, 이곳에 갓 도착한사람들의 얼굴, 그리고 죽거나 떠나기 직전의 여위고 삭막하고눈이 퀭한 얼굴을 보는 것이 낫다고 마음을 다잡았다. 떠난다는것은 대체로 킬링필드로 이송된다는 것, 그저 다른 곳에서 죽는다는 의미일 뿐이다. 투올슬렝 주변 묘지들이 꽉 차자 죄수들은한밤중 버스에 실려 외곽지역의 쯔응아익을 향했다. 이곳이 킬링필드다.
쯔응아익은 그저 발전기 하나와 사람을 죽이는 다양한 도구들로 가득한 오두막 하나가 있는 벌판이었다. 내가 방문했을 때는 사람 뼈가 가득했다. 이 표현은 서정적인 진실이 아니라 문자그대로의 사실이다. 나는 내 신발이 뼈 사이를, 뼈 위를 밟는 모습을 바라보았다. 죽은 이들과 우리 사이의 일은 아직 끝난 것이아니었다. 크메르식의 장례 기념비인, 두개골과 대퇴골과 늑골로가득 찬 유리 탑인 스투파로 다가가서 유리를 사이에 두고 이쪽에는 내 몸이, 저쪽에는 뼈가 있는 채로 신발을 벗고 머리를 숙이는 경험은 인지 가능한 경건함을 불러왔다. 그것은 내가 규칙을알 수 있는 의식이니까. 그러나 죽은 사람의 늑골 파편, 낡은 옷가지와 신발 고무창 조각 사이로 걸음을 디디며 뼈 사이를 걷는 것은 그와는 달랐다. 죽은 이들 위를 걷는 것은 불경하지만 정직한 일로 느껴졌다. 어차피 우리는 언제나 이렇게 걷고있다. - P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