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 전쟁 - 전 세계에 드리운 대기오염의 절박한 현실
베스 가디너 지음, 성원 옮김 / 해나무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기 한 모금, 폐를 가득 채운다. 그다음 순간 생명의 태엽이 가차없이 째깍이며 정해진 운명에서 헤어날 수 없다는 기분이 든다. 하지만 이번에는 뭔가가 개입해서 장비에 끼어들고 리듬을 방해한다. 의식적인 마음은 몸의 원시적인 힘을 이기지 못할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호흡을 중단시킬 수는 없어도 지연시킬 수는 있다. 1분, 어쩌면 2분정도. 쉽지는 않을 것이다. 여기에는 매초 힘들어지는 노력, 그 노력이 필요하다. 저항의 노력이 치열해질수록 마음의 집중 역시 강렬해진다. 그리고 몸은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한다"(375)


아이가 태어나는 순간 폐에 공기가 차며 숨을 쉬기 시작하며 생명의 순간이 시작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것 같다. 이 책이 생명과학에 대한 이야기라면 그저 문학적인 표현에 책장을 쉽게 넘겼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폐수술을 하고 언제 또다시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폐가 망가질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이 내용을 더 유심히 보게 한다. 뿌옇게 스모그가 낀 도심의 거리, 이제는 매일의 날씨예보를 하듯 날마다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있는 시대를 살아가면서 공기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것은 내 생명에 대해 관심이 없다는 것과 같은 의미가 된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벌써 이십여년이 된듯한데, 캐나다 여행을 하고난 후 서울에 도착했을 때, 예전에는 몰랐었던 서울도심의 매캐한 매연을 맡고 황급히 차창문을 올렸던 기억이 있다. 숨쉬기가 불편할만큼 고약한 매연으로 기억하고 있는데 미세먼지는 냄새도 없어서 무심결에 지나쳐버리고 만다. 한때 비흡연여성의 폐암발생비율이 높은 이유가 부엌에서의 조리과정에서 흡입하는 연기때문이라는 기사가 나왔었는데, 실제로 담배가 폐암에 영향을 끼치기는 하겠지만 폐암의 이유가 절대적으로 담배때문만은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산불이 나면 자연재해라고만 생각을 하는데 나무가 연소되면서 나오는 연기 역시 폐에는 좋지 않다는 것을 생각해본적이 있는가. 


이 책의 저자는 코로나팬데믹 이후 봉쇄조치로 인해 자연환경이 좋아졌다는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공기가 깨뜻해지고 탄소배출량이 줄어들었지만 이후 팬데믹이 해제되면 그 모든 효과는 사라지고 다시 이전으로 돌아갈 것임을 언급하고 있다. 봉쇄조치만으로 깨끗한 공기가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해 깨끗한 에너지로의 전환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런 부분은 우리 모두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탄소배출제의 대비로 기업의 변화와 국가적 지원이 따르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다. 전기차의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전기차를 운반하는 대형트레일러는 여전히 디젤차이고 석탄을 사용하고 화목난로 역시 친환경을 표방하지만 깨끗한 공기를 오염시키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 지금은 중국발 미세먼지가 전 세계를 뒤덮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십여년전만해도 중국은 정보를 통제하고 맑은 날이 지속되고 있다는 정치쇼를 했고 우리는 미세먼지의 폭풍속에 그것이 우리에게 얼마나 안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미처 깨닫지 못했었다. 2011년 소셜미디어가 아니었다면 지금도 정보통제가 되는 것처럼 베이징의 날씨는 언제나 쾌청하다고 했을까......

상징적으로만 인식하고 있던 공기의 질, 특히 베이징뿐 아니라 인도의 뉴델리, 영국의 런던까지 악화된 공기가 특히 어린아이들의 폐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명확한 자료와 경험치를 통해 알려주고 있는데 막연히 환경을 생각하자,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확실히 깨끗한 공기, 깨끗한 환경을 위해 행동을 해야하는때가 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미세먼지 가득한 날, 마스크를 잊지 말아야지,라는 것만을 떠올리는 수동적인 자세가 아니라 미세먼지를 없애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까를 고민하고 실천해야한다는 것을 잊지말아야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