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고 싶은 수학
사토 마사히코.오시마 료.히로세 준야 지음, 조미량 옮김 / 이아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풀고 싶은 수학'이라니 제목부터가 심상치 않았다. 내게는 여전히 수학이라는 개념보다는 단순계산식을 하는 산수가 더 수학이라는 개념을 떠올리게 하고 있는데 조금씩 깨져가고 있는 그 생각을 확실히 바꿔줄 수 있는 책이 아닐까,라는 기대로 이 책을 펼쳐보게 되었다. 수식보다 일상의 사진과 그림이 더 많이 실려있는 수학책이라니 색다른 책이라는 느낌보다 오히려 내가 쉽게 이해하기 힘든 공간 도형문제들이 많으려나 라는 생각이 들며 동시에 내가 풀 수 있는 문제가 하나도 없다면 그것 또한 책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려 책 읽기가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었는데...


이 책은 계산식으로 풀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을 통해 문제풀이를 제시하고 있다. 가장 현실적인 것은 크기가 다른 초콜릿이나 치즈를 더 많이 먹을 수 있는 방법 혹은 똑같이 분배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었는데 이 모든 것들을 사진을 보며 직관적으로 풀이해낼 수도 있지만 풀이 해설은 수학적인 계산과 논리적 증명으로 하고 있다. 


한가지 부끄러운 고백을 하자면, 난이도가 높지 않은 불변량의 문제 '6명의 아이들과 6개의 테두리'에서 왜 한 테두리 안에 세명의 아이가 들어갈 수 없는지, 번역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며 이 책을 끝까지 다 읽은 후에도 이해가 되지 않았는데 지금 가만히 책을 보고 있으려니 내가 바보같이 양 끝 테두리에 있는 아이들 역시 한칸 이동을 해야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수학의 수리력은 이해를 했지만 내가 논리적으로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문제를 다시 읽어보며 눈으로 확인을 하니 이렇게 간단하고 쉬은 것을 이해못했나 싶어진다. 


수학을 잘 하거나 중학생 이상의 학생에게는 좀 쉬운 내용이 많아서 수학에 흥미를 느끼게 해주기 위한 방법으로 이 책을 권해주는 것은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조금씩 난이도가 높아져가는 단계가 있지만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배운 학생이라면 이 책은 그리 어렵지 않게 쓰윽 읽을 수 있는 수준이고 수식 계산이 아니라 모양만을 보고 정답을 알아챌 수 있다 하더라도 잠시 생각을 해 보고 그 정답이 나오게 되는 수치변환 해설을 보면 수학이 이런 것이구나,라는 흥미와 관심이 생기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