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볼루션 - 어둠 속의 포식자
맥스 브룩스 지음, 조은아 옮김 / 하빌리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풋, 마을을 파괴하다.

이 책의 첫문장을 읽을때만해도 내가 어떤 책을 읽고 있는지에 대한 생각이 없었다. 

레이니어 화산 폭발로 그 인근에 위치한 최첨단 고급 친환경 공동체인 그린루프에서의 유혈참사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되어 있는데 - 이건 이미 서문에 언급되어 있는 글임에도 불구하고 책을 다 읽고난 후 다시 앞으로 돌아갔더니 명확하게 이야기의 전개를 설명하고 있었다. 코로나 확진이 되어 격리되면서 아프기도 하고 정신이 없어서 책의 내용에 집중을 못한탓이라고 생각해보기도 하지만 그저 상황은 다르지만 격리된 상태에서 '생존'에 대해 더 몰입하며 집중을 했기 때문일 것이라 짐작하고 있다. 

아무튼 그린루프에서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에 대한 의문은 그곳에서 발견된 케이트의 일기에서부터 시작한다. 친환경공동체에 입주하게 되면서부터 이웃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화산 폭발 후 전력이 끊기고 인터넷 연결이 안되며 고립되어버린 공간에서 일어난 일들에 대해 기록한 케이트의 일기를 통해 인간 공동체가 자연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노력과 그들을 공포로 몰아넣은 사스콰치에 대해 알게 된다. 


'친환경 공동체'라는 설정에서부터 케이트의 이웃이 입양한 딸 팔로미노가 소수민족 로힝야 출신이라는 설정 등을 읽으며 이 소설이 단순히 재난이라거나 좀비스릴러만은 아니라는 것을 짐작하게 한다. 하지만 나는 솔직히 처음 책을 읽기 시작할 때 이렇게 전개되어가는 이야기가 조금은 지루하게 느껴졌다. 왜 이렇게 설명이 많은걸까, 왜 문장마다 이렇게 의미를 묻어두고 있는것처럼 느껴지는걸까... 싶었는데 이 모든 것이 이야기의 전개에 필요한 것이고, 소설의 형식 자체가 케이트의 일기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기에 필요한 설정이고 복선이라는 것을 느끼게 되면서부터 조금씩 속도감이 붙기 시작했다. 

물론 이미지에 대한 상상력이 부족함을 평소 아쉬워했는데 모스타르가 케이트에게 토끼 잡는 법을 알려주기 시작할 때부터 목이 잘린 이웃의 머리를 찾아내어 가지고 오는.... 아, 이런 것은 구체적인 묘사를 보고 싶지는 않다. 


극한 상황에서 닥치는 공포에 대해, 심지어 부부마저 신뢰할 수 없거나 힘이 없음에도 지켜야할 것들에 대해 용감해지는 것, 지능을 가진 인간만이 우월하다는 인식을 단번에 깨버릴 사스콰치...

이 이야기는 수많은 것을 말해주고 있다. 그렇다고 이 소설이 도덕 교과서는 결코 아니다. 주먹쥐고 마음졸이며 그린루프에서 일어나는 상황에 몰입하다보면 쫓고 쫓기는듯한 긴박감에 심장을 조이고 있다가 잠시 안정을 찾게 되면 이 상황들에 대해 성찰과 고뇌가 이어지고 곧이어 또다시 예상못한 상황이 발생하고...


공동운명체에 대한 책임과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정체불명의 존재에 대한 공포가 뒤엉키고 있는 이야기는 다시 곱씹어볼수록 내 생각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고 있다. 

케이트와 팔로미노는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 어쩌면 화자가 예상한 세번째 시나리오처럼 케이트가 눈을 번쩍 뜨는 그 모습에서부터 데볼루션의 두번째 이야기가 시작될지도 모르겠다는 기대를 잠시 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