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과도하게 산림을 벌채해 자살과 다름없는 광기를 저질렀어도 식물계는 아직 지구 생물 총량의 99%가 넘는다는 사실을 상기하자. 식물없이는, 식물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산소와 식량없이는 우리는 죽은 목숨이다. 그러나 식물은 우리가 없어도 아무 문제 없이 살 수 있다. 58

진화 초기부터 인간은 식물의 향기와 맛, 색채와 아름다움에 끌렸다. (그런데 이게 바로 식물의 목적이 아니던가?) 스테파노 만쿠소는 2013년에 이렇게 썼다. "식물이 우리에게 기분 좋은 꽃을, 열매를, 냄새를, 맛을, 향을, 색깔을 만들면서 인간을 상대로 조종 능력을 발휘했으리라는 것도 배제할 수 없는 사실이다. 어쩌면 식물은 오직 인간의 마음에 들려는 목적에서 그 모든 걸 만들었고, 인간은 그 반대급부로 전 세계에 꽃을 퍼뜨리고 가꾸고 보호하는지도 모른다. (…) 자연에서는 누구도 아무 대가 없는 행동을 하지 않으며, 우리가 적어도 일부 식물 종에게는 최고 동맹이 될 수 있을 행성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 그렇다. 하지만... 동맹인 인간이 배신해서 갑자기 최악의 포식자로 돌변한다면 식물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산림파괴에 공해 피해까지, 유전자 조작에 몰수 특허 취득까지 인간은 한세기도 채 되지 않는 시간 동안 식물에게 공공의적 1호가 되었다. 그렇다면 식물이 노린재를 상대로 실행했던 퇴치법을 인간에게 실행할 위험은 없을까? 식물은 실제로 그렇게 했다. 1990년대 초, 대추야자나무의 꽃가루 속 에스트론이나 감자 속의 프로게스테론처럼 다양한 식물 종에서 여성 호르몬이 발견되었다. 장-마리 펠트는 1996년에 『자연의 비밀 언어에서 이렇게 말한다. "식물은 곤충의 호르몬만 흉내 내는 데그치지 않는다. 여성의 특정한 성호르몬도 만들 줄 안다." 그것도 피임약의 용량을 연상시키는 용량으로…. 그것은 자연의 ‘실수‘일까 아니면 인간이 초래할 위험에 대한 식물의 결연한 대응일까? 펠트는 "곤충의 출생 제한은 다양한 식물 종들이 실행하는 활동이고, 인간이 채택하기 훨씬 전부터 자연에서 쓰이던 전략이다"라고 말한다. 55-57
*스테파노 만쿠소.알렉산드라 비올라, 매혹하는 식물의 뇌 - P56
우리가 과도하게 산림을 벌채해 자살과 다름없는 광기를 저질렀어도 식물계는 아직 지구 생물 총량의 99%가 넘는다는 사실을 상기하자. 식물없이는, 식물이 우리에게 제공하는 산소와 식량없이는 우리는 죽은 목숨이다. 그러나 식물은 우리가 없어도 아무 문제 없이 살 수 있다. 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