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견자들 2 - 자연 발견자들 2
대니얼 J. 부어스틴 지음, 이경희 옮김 / EBS BOOKS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험은 결코 잘못 판단하지 않는다. 다만 경험의 능력 밖에 있는 것을 기대하는 우리의 판단력이 오류를 범할 뿐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여러 의미로 이 말이 다가오고 있다. '발견자들' - 세계를 발견하고 인류를 발전시킨 탐구와 창조의 역사,라는 책을 처음 접했을 때 나는 무의식중에 '발견'에 더 중점을 둬버렸던 것 같다.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야 '발견자들'에 대한 이야기임을 절실히 깨닫게 되었는데 그것이 한편으로는 이 책에 대한 흥미를 반감시키기도 했지만 또 한편으로는 탐구와 창조에 대한 새로움의 역사를 보게 되어 흥미롭기도 했다. 


둘째권은 '자연'이라는 부제가 달려있는데 솔직히 왜 '자연'인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지동설의 시작과 그에 관한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오의 이야기를 하며 갈릴레오의 망원경이 예수회 사제들을 통해 중국으로 전해지고 한국을 거쳐 일본에까지 전달되었다는 것으로 첫번째 장을 열고 있는데 갈릴레오의 망원경이 아시아로 넘어오면서 중국의 천문학을 발전시켰다는 듯한 암시는 '발견자들'에 대한 이야기가 아닌 것 같기도 하고. - 사실 망원경이 마테오 리치 신부에 의해 전해졌다고 하더라도 그 이전에 중국이나 우리나라의 천체관측이 미개한 수준은 아니었지 않은가. 나의 괜한 과민반응인지는 모르겠지만.


두번째 장에서는 의학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고 있다. 1300년 이후에야 비로소 신학과 의학의 분리가 시도되고 있는데 파라셀수스, 갈레노스 등의 인물을 통해 약물치료나 신체의 각 부분에 대한 실질적인 상처와 해부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하는데, 사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만화로 배우는 의학의 역사'(한빛비즈)를 통해 간략하지만 더 상세하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서 그런지 인체해부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던 베살리우스의 이야기에 더 집중하게 된다. 


과학의 대중화, 만물을 분류하다 라는 장에서는 이미 짐작할 수 있듯 근대과학이라 부를 수 있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사과중의 하나인 뉴턴의 만유인력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뉴턴의 인성, 당대 대중과학 무대에서 과학의 발전보다는 본인의 명성과 우선권 분쟁에 더 관심을 가졌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발견자들'을 통해 위대한 과학의 역사, 위대한 발견자들에 대한 무한긍정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식물학과 동물학에 대한 이야기도 이어지고 있는데 사실 글의 내용에 집중을 못해서인지 내가 책을 제대로 읽지 못한 탓인지 재미와 흥미만을 갖고 읽을 수 있는 이야기들은 아니었다. 그래도 어쨌거나 현대 과학문명의 혜택을 받으며 살고 있는 우리에게 그들의 시도는 말도 안되는 것일지 모르지만 그 첫걸음이 있기에 오늘날의 과학이 있는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보면, '위대한 발견자들'인 것은 맞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