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마는 이미 인도의 종교와 사교 관습뿐만 아니라 음식 문화에도 널리 퍼져 있었다. 무엇이든 대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는 조치에는 부작용이 따르는법이다. 서구인들에게 식민지에서 사용하는 대마 냄새는 지독한 저항의 악취로 받아들여졌다. 이는 인도와 남아프리카, 그 외의 여러 식민지에서 대마초를 사용하는 갈색 피부의 식민지 주민들은 게으르고 시간을 관념을 모르는 노동자이므로, 유럽인이 그들을 지배하는 것은 정당하다는 논리의 한 근거가 되었다. 대마초에 씌워진 어들고 음습한 오명은 그대로 답습되었다. 243
내 친구는 커서 화가가 되었다. 학창 시절에는 주로 현금을 받는 일이 많은 서비스 직종으로 학비를 벌었는데, 업타운의 한 커피숍에서 바리스타로 일한 적이 있었다. 커피숍 길 건너에는 교도소에서 출소해 사회에 완전히 복귀하기 전까지 머무는 복지시설과 저소득층을 위한 공공주택 단지가 있었다. 친구도 자신의 아버지처럼 길 건너 사는 사람들로부터 들어온 냄새나고 구겨진 돈과 출퇴근 시간대에 상업지역으로 들어가거나 나오는 사람들로부터 받은 빳빳하고 좋은 냄새가 나는 돈을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금전등록기에 들어간 지저분한 돈에는 독특한 인간미가 묻어 있었다.
추운 겨울 따뜻한 커피숍에서 오후 시간을 보내기 위해 꼬깃꼬깃한 1달러짜리 지폐로 커피를 사 마시는 사람들이 있었다. 그 사람들은내 친구가 화장실 청소를 할 때나 가게 문을 열고 닫을 때 도와주기도 했다. 그들이 내미는 지폐는 지린내 나는 바지 주머니에서 땀내찌든 손으로 꺼낸, 담뱃재가 그대로 묻어 있는 돈일 때가 많았지만고달픈 인생사의 한 조각이 담겨 있는 인간적인 돈이었다.
내 친구의 일화는 그저 개인적인 경험담일 뿐, 참이냐 거짓이냐를 판별하거나 증명할 수 있는 이론이 아니다. 그러나 그 이야기는 돈 냄새의 어두운 이면을 들춰 보여준다. 지폐가 사람들 사는 동네로, 현금지급기를 통해 들어가는 것을 상상해본다. 그 지폐들은그 지역에서 계속 유통된다. 논리적인 이야기다. 돈이 많은 사람은현금을 잘 쓰지 않는다. 아주 소소한 물건을 살 때만 현금을 쓴다.
현금은 부자 동네에서 가난한 동네로만 흐르는 것 같다. 예를 들면,
소원을 비는 분수에 동전을 던진다든가, 주차미터기에 동전을 넣는다든가, 길거리 공연가들 앞에 놓인 돈통에 넣는다든가. 하지만 가난한 동네에서 부자 동네로 돈이 흐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가난한사람들은 어쩔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웬만해서는 부자 동네에가서 돈을 쓰지 않는다. 현금, 특히 액면가가 적은 돈은 한 동네에서만 빙글빙글 돌 뿐, 그 동네 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에서, 현금 냄새는 어떤 의미로 작용하고 있을까. 내 것이 아닌 돈통 속에 가득 들어 있는 돈을 셀 때는돈 냄새가 다르다. 그 돈을 다 세고 나면, 그 돈이 그 돈통에 이르기까지 지나왔던 다양하고 폭넓은 인간 세상의 상호작용과 거기에 든 시간을 모두 세는 것과 다름없다. 2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