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메뉴는 제철 음식입니다 - 박찬일 셰프의 이 계절 식재료 이야기
박찬일 지음 / 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은 과일도 제철보다 하우스 과일이 더 당도가 높다는 이유로 선호하고 있어서 제철이 되면 오히려 끝물인 듯한 느낌이 들곤한다. 하지만 여전히 나는 과일도 그렇지만 야채의 경우도 되도록이면 제철에 많이 먹으려고 한다. 값이 싼 이유도 있지만 왠지 자연속에서 햇빛을 받으며 긴 시간을 보내고 자라난 야채와 과일이 더 좋기 때문이다. - 하우스가 토양을 망가뜨린다는 이야기와는 별개로.

 

그래서 저자의 이름을 확인하지 않고 제목만 봐도 관심이 가는 내용이었는데 작가의 이름을 보는 순간 믿고 볼 수 있는 책,이라는 확신이 들었다. 박찬일 셰프라면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글을 맛깔스럽게 쓰는 작가임을 알고 있으니까 말이다. 그가 만드는 음식의 맛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 사실 그분의 심드렁한 표정을 보면 요리가 즐거운 거 맞을까? 싶은 생각에, 그의 요리를 먹어본적도 없기에 뭐라 표현하기가 그렇지만 확실히 글만큼은 맛나게 쓰는 것 같다. 요리를 직접 하기 때문에 단순한 식재료의 느낌이 아니라 요리로 완성되는 제철 음식에 대한 생생히 살아있는 이야기들이 담겨있을 것 같기도 하고.

 

우리나라에서 맛볼 수 있는 4계절의 제철 식재료 이야기가 담겨있는 이 책은 산과 들과 바다에서 나는 흔하거나 흔하지 않은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저자의  이야기처럼 예전엔 가장 싼 반찬으로 고등어, 갈치를 꼽았는데 지금은 너무 비싸서 큰 맘 먹고 먹어야 하는 반찬이 되었다는 걸 실감하고 있기에 이야기들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특히 딸기철만 되면 박스로 사다 먹곤 했는데 왜 노지 딸기보다 하우스 딸기가 더 흔한지 알게 되어 여러 생각을 하게 된다. - 사실 지금 내가 좋아하는 양파가 과잉생산으로 값이 폭락하고 있다는데 그만큼 힘든건 농민들일뿐이고 마트에 가면 가격폭락이라는 것을 크게 체감하지는 못하고 있으니 말이다.

아무튼 평소 딸기를 씻으며 흐르는 물에 여러번, 꼭지를 따면서 안익어 하얗게 된 부분을 크게 도려내버리곤 했었는데 오히려 꼭지 부분이 영양이 제일 많으며 딸기는 농약을 적게 하는데다 햇빛을 받으면 다 증발해서 씻지 않고 먹는 것이 수용성 비타민을 유실시키지 않고 먹을 수 있다고 한다. 아, 그런데 지금 다시 보니 늦봄이 제철인 딸기가 겨울의 맛에 들어가 있네. 이제 정말 딸기는 겨울과일이 되어버린 것일까.

 

제철 식재료의 절반 이상이 바닷것이어서 비린 것을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그저 이야기로서만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모른다. 그런 나 마저도 밥을 먹기전에 이 책을 읽으면 먹고 싶은 것들이 자꾸 생각나 도저히 책만 읽고 있을수가 없어서 저녁을 배불리 먹고 난 후 조금씩 읽었는데 제철이 되면 꼭 한번 먹어보고 싶은 기분이 들게 한다.

 

"처음부터 통조림으로 먹기 시작한 사람에게는 생꽁치를 쓰면 더 맛이 없다고 느낄 테지. 맛이란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다. 설탕과 미원을 왕창 넣고(이미 통조림에는 미원이 꽤 들어있다) 조린 꽁치김치 요리는 아마도 이 시대를 상징하는 맛이다. 찌그러진 양은 냄비의 신화 같은 것"(155) 이란 문장과 마주치면 좀 많이 씁쓸해지기도 하지만.

그래도 역시 이 책은 맛깔스럽다.

이제 여름이 되었으니 그나마 먹는 전복으로 죽을 해 먹어볼까, 아니면 누군가처럼 전복라면을 한번 시도해볼까 싶기도 하지만 이 책을 읽기 전부터 관심을 가졌던 가지요리를 좀 찾아봐야겠다. 참기름에 살짝 굽기만 해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가지의 계절이 왔으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