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웃는 남자 (상) 열린책들 세계문학 85
빅토르 위고 지음, 이형식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읽다가 너무 재미없어서 읽기를 포기한 것이 작년 중반기다.

줄거리도 모르고 단지 배트맨의 '조커' 캐릭터가 모방한 원작캐릭터가 등장한다기에 읽기 시작했었다.

그러다 올해 몇 주전 즈음 『웃는 남자』의 내용이 무얼지 궁금해서 검색을 하다가 어느 독서가분의 줄거리 요약한 리뷰를 읽고서 다시 읽기 시작했다. 상권을 다 읽고서 이젠 하권을 읽는 중이다.(줄거리가 알고 싶다면 검색하시길)



"좋은 작가는 모든 것을 다 말하지 않는다. 특정 사건들이 모여 순서대로 배열되고, 시간이 흐르면서 그것이 이야기의 플롯이 되고, 그 플롯은 이야기 저변에 깔린 주제와 조화를 이루게 된다. 작가는 둘에 둘을 더해 넷을 만들 듯 이 과정에 참여하라고 독자에게 요청한다" - 『이야기 치료의 지도』 중에서



고전 문학을 중학생 이후로는 처음 읽는 것이 이 책이다. 줄거리도 모르고 도입부를 읽으며 "장황하다." "지루하다." 그랬는데 퍼즐조각을 하나씩 맞추면서 전체를 조망하며 다른 조각을 더하는 것처럼 이야기의 조각들이 맞추어지는 것이 너무도 흥미로왔다. 그럼에도 빅토르 위고가 좀 장황하다 싶은 건 사실이지만 '그윈플레인'과 '데아'의 앞에 어떤 이야기들이 남아 전개될지 기대된다.



영리한 여성들의 시대라 누군가에게 '데아' 같은 여성이 함께해주길 기대하는 건 어리석은 일일테지만 소설 속에서나마 아름답게 이어지기를 기대하면서 읽고 있다.



하나의 개념은 하나의 안내자이다.

어둠은 분별하는 법이 없고 사물에게는 기대하던 너그러움이 없다.

추락하는 것은 추락하게 되어 있었던 것이고
성공하는 것은 성공하게 되어 있었던 것이다.
섭리는 나름대로의 동기를 가지고 있어
자격 있는 이에게 왕관을 씌워준다.


붕괴된 모든 곳에, 자연은 꽃이 다시 피어나고 다시 푸르러지도록 한다.
돌을 위해서는 담쟁이를 인간을 위해서는 사랑을 준비해 놓고 있다.

맹인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기형이란 곧 축출이다. 소경이란 곧 절벽이다.
그런데 추방되었다가 받아들여졌고, 절벽이 살 수 있는 곳으로 변했다.

장미꽃 한송이가 유충에게 구혼하고 있었다.
그 유충 속에서 신성한 나비를 느꼈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신들의 지옥을 천국으로 만들어 놓았다.

"철인이 되어라. 지혜롭다는 것은. 그 무엇으로부터도 상처를 입지 않는다는 뜻이다. 네가 보았다시피 나는 절대 울지 않았다. 지혜의 힘 덕분이었다. 내가 울기를 원했지만 나에게는 그럴 계기가 없었다고 믿느냐?" - 우르수스의 말

환상은 몽상의 빵이다. 따라서 사랑으로부터 환상을 빼앗는다는 것은 사랑으로부터 양식을 빼앗는 것이다. 모든 형태의 열광이 사랑의 형성에 유익하게 참여한다. 물리적 열광이나 심리적 열광 모두 마찬가지이다.

이 지상에서의 삶이란 도대체 어떤 나비를 탄생시킬 유충이란 말인가?

망각을 나누는 사람, 이 지상에서는 얼마나 고마운 사람인가?

배우는 명멸하는 등대이다. 나타났다가는 곧 사라지는지라,
관객에게는 겨우 환영처럼밖에 보이지 않고, 등대불빛처럼 빙글빙글 도는
이 세상에서는 잠시 어른거리는 미광에 불과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다라 미술치료 워크북 - 자기발견과 마음의 치유, 그리고 행복을 위한
수잔 핀처 지음, 오연주 옮김 / 이음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융은 경험을 통해 만다라가 전체성을 향해 성장해 나가는 인간의 생래적인 충동과 연관된다고 믿게 되었다. 여기서 전체성이란 한 개인이 잠재력을 완전히 다 발휘한 상태라고 규정할 수 있다."



"꿈 속의 만다라와 만다라를 만들고자 하는 충동은 스트레스가 많은 시기에 더 심해진다. 융은 만다라가 자연적인 치유 방법의 하나라고 주장한다."



이 책은 융학파 심리치료사이며 상담의이자 미술치료사인 수잔 핀처가, 융의 만다라 연구에서 영감을 얻어 조앤 캘로그라는 심리학자가 정립한 '위대한 만다라 일원상의 원형적 단계'를 실제 치유에 대입한 미술치료서이다.



12단계로 발달과정과 치유과정을 안배한 미술치료서인데 이제 고작 2단계까지를 해 보았을 뿐이다. 게다가 실제 미술도구들을 사용해 그리거나 만들어본적은 없다. 마음을 통해 영상으로 만다라를 그리고 만들어 보았을 뿐이다. 선명하게 시각화했기에 실제 작업에 준하는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만다라가 전체성을 향하는 인간의 충동이 반영되는 작품이라면 그 자체로 자연적인 치유 방법의 하나라면 내적 상처들이 잦아들기까지 아니 치유되기까지 다양한 만다라를 의념해 보아야 할 것 같다.



술취한 원숭이 같은 마음의 잡념들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 불교의 금강계 만다라를 의념해 보려 한다. 본서는 종교를 떠나 만다라의 내적 제작 자체가 나와 주변인들을 동시에 치유하는 과정이 될 수도 있음을 깨우치게 해준 고마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화와 정신분석
이창재 지음 / 아카넷 / 201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읽고 있는 중] 헐~ 신화를 분석에 대입하는 것이 아니라 신화 속 인물들을 정신분석하고 있어 대~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존의 기술 - 인류의 지혜가 압축된 불멸의 지혜! 이솝우화에 숨겨진 생존 매뉴얼 95가지
임채영 지음 / 나무그늘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아이들이나 읽는 우화집 정도로 오해받고 있고 폄하되고 있는 책이 이솝우화이다. 이솝 우화집에 있는 생존의 기술들을 다시 전하기 위해 썼다'는 것이 저자의 말이다. 나 역시 10대 이후로는 이솝우화집을 읽어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링컨 미 전대통령, 처칠 영국 전총리와 마키아벨리 마저도 처세와 전쟁 등에 실제적용하던 지략서가 이솝우화라고 한다. 25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이솝 우화는 서양의 '지낭' 쯤 되는 도서가 아닌가 싶다. 그런 의미에서 보자면 이 책도 제법 읽어볼만한 책인지도 모르겠다. 


다만 생존기술이라는 이 책은 읽으며 어느 입장으로 보는냐에 따라 다양한 교훈과 감흥을 주는 이솝 우화를 너무 한가지 시각에서만 해석해 주고 있다. 지은이의 해석이 없느니만 못한 게 아닌가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야기해줄까요 - 닥터 호르헤의 이야기 심리치료
호르헤 부카이 지음, 김지현 옮김 / 천문장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고서야 20대 초반에 즐겨 읽던 오쇼 라즈니쉬의 강론집들이 심리치료의 효과가 있었던 것이구나 깨닫게 되었다. 비단 오쇼의 강론집뿐만이 아니라 민담, 신화 등을 좋아하던 나의 성향이 결국엔 나 자신의 마음에 치유를 얻기 위한 자기치유적 성향이 자발적으로 일어났던 것임을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