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만 되면 각종 알레르기로 고생하는 사람이 많다.
알레르기 질환은 전체 인구의 20∼25%가 앓고 있을 만큼 흔한 질병이다. 알레르기 질환은 진드기, 먼지, 화학물질 등 다양한 외부물질에 대한 과민반응 때문에 일어난다. 더욱이 봄철에는 꽃가루와 황사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알레르기 질환에는 완벽한 치료법이 없다. 그래서 오히려 원인물질을 피하고 외출을 줄이며, 손발을 깨끗이 씻는 등 자기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 알레르기 비염을 '분체'나 '비구'라고 한다. 그리고 그 원인은 바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부 면역력 저하로 오는 질환으로 면역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풍한'이 몸 속에 들어와 발생된다고 말한다.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은 발작성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이 나타나며 눈이나 구강점막 특히 비점막에 가려움증이 있을 수 있다.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에서도 같은 증상이 나타나지만, 눈과 구강의 가려움증은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증상은 주로 아침에 나타나고 일년내내 하루 1시간 이상의 증상이 있다.

현대 의학적으로 분석해도 평소에는 건강하게 지내다가 과로가 겹치거나 감기가 오래 지속되면 체내의 저항력이 약해지면서 이러한 질환인 나타난다. 초기에는 환절기와 겨울철에 나타나고 재채기 횟수도 1-2회 정도지만 만성화되면 천식, 호흡기 장애,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의 합병증으로 고생을 하기도 한다.

주로 감기나 알레르기성 비염을 거쳐 만성 비염이, 그리고 이 만성 비염이 축농증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즉, 축농증으로 코에 농이 생겨 코가 막히고 누런 콧물이 나오며 후비루(코가 목 뒤로 넘어가는 현상)가 생기게 된다. 이럴 때에는 머리가 무겁게 되고 냄새도 잘 맡지 못할 뿐더러 머리에 산소 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아 기억력이 감퇴된다.


집먼지, 진드기 등 모든 원인 물질을 제거하고 피해봐도 알레르기 비염을 없애는 데에는 소용없는 경우가 많다.
"정기존내 사불가간". 즉, 정기(인체의 바른 기운)가 몸 안에 있으면 사기(나쁜 기운)가 함부로 침범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인체의 면역력이 강하면 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말이다. 한방에서 보면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은 "자기 자신"이다. 자기 자신의 문제 해결이 안되고 자신의 면역력이 증가되지 않으면 조금만 피로해도, 조금만 몸이 차도, 조금만 원인물질에 노출되어도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보통 알레르기 비염의 경우 한방 체질치료로 현저한 치료효과를 보이는데 간 기능은 비교적 양호하지만 폐 기능을 약하게 타고난 태음인의 경우에 주로 잘 걸린다. 물론 다른 체질에게서도 잘 걸릴 수 있는 질환이다. 하지만 알레르기 비염에 잘 걸릴 수 있는 체질이라도 면역력을 높이면 외부의 나쁜 기운에 대해 저항력이 생기고 내부에서 생기는 병도 가볍게 이겨낼 수 있다.

1. 일시적인 증세를 가라앉히는 대증요법
초기에는 효과가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약의 내성 때문에 약효가 줄어든다. 그리고 약을 쓰지 않으면 다시 그 증상이 나타나고, 약을 쓰면 효과가 있는 이른바 "안경현상"이 나타난다.

2. 뿌리치료인 체질치료
비염 외에 전신증상(만성 피로, 두통, 소화불량)등 다른 증상도 동시에 소멸된다.


하지만 치료 이전에 평소 자신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꽃가루가 많을 때는 창문을 닫고, 외출 때는 마스크를 사용한다. 에어컨이나 공기청정기도 좋다. 이불 등의 침구류를 자주 세탁하고 가습기를 이용해 실내 습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 자료: 건강샘

  ▒ 네이트닷컴 - 건강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이드 2005-04-15 0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회사들어와서 비염이 생겼는데요 -_-a 회사의 카펫을 범인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