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진과 유진 ㅣ 푸른도서관 9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막연히 우리나라에는 청소년들이 읽을만한 성장소설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추천하는 도서의 목록 속에 담긴 다른 나라 작가의 성장소설을 보며 왠지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이왕이면 우리 정서에 잘 맞는 그런 성장소설은 없을까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우연히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됐다. 사실 오랫동안 청소년 문학을 읽지 않았지만 이금이 작가의 이름만은 익숙했기에 한 번 어떤지 볼까라는 마음으로 읽었는데 나의 어린 시절이 생각나 고개를 연신 끄덕거리며 읽었다.
이야기는 유진이 2학년이 되며 시작된다. 단짝친구인 소라와 같은 반이 된 기쁨도 잠시, 같은 반에 자신과 이름과 심지어 성까지 똑같은 아이가 한 명 더 있다는 사실때문에 인생이 꼬이기 시작한다. 게다가 그 아이는 자세히 보니 자신과 함께 유치원을 다녔던 아이. 두 유진을 어떻게 불러야하나 고민하는 담임 선생님에게 자연스럽게 어렸을 때 그랬던 것처럼 큰유진, 작은유진으로 불러달라는 큰 유진. 하지만 작은 유진은 자신이 큰 유진과 유치원을 함께 다녔다는 사실도, 유치원 때 있었던 '그 사건'까지도 모르는 눈치다. 하지만 큰 유진과의 만남으로 작은 유진은 자신의 과거에 대해 막아뒀던 방둑을 터트리고 하나씩 기억해내기 시작하는데...
외모도, 성격도 다른 큰 유진과 작은 유진. 하지만 그들은 유치원 시절 같은 경험을 했다는 연결고리를 갖는다. 하지만 큰 유진은 가족들 덕분에 상처가 어느 정도 아문 채 살아간다면 작은 유진은 기억을 지울 것을 강요당하고 새 엄마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애정을 받지 못하고 자란다. 하지만 작은 유진은 큰 유진을 통해 하나씩 기억을 찾고 단순히 공부를 통해 부모에게 인정받는 것이 아니라 음악에 몸을 맞춰 춤을 추는 것으로 자신만의 자유를 찾는 모습이 따뜻한 시선으로 그려지고 있다.
작은 유진의 외할머니의 말처럼 상처가 있다면 저절로 아물어 옹이가 되는 것이 옳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아이의 장래를 위해 그리고 자신을 위해 애써 사실을 숨기려한 작은 유진의 부모의 마음이 이해가 가기도 했다. 세상은 건우 엄마처럼 겉으로는 네 탓이 아니라고 하지만 속으로는 '그런 애는 문제가 있다'라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한 번 피해자는 영원히 피해자로 살 수밖에 없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다. 아직 부모가 되려면 멀었지만, 이 책을 읽으며 만약 내 아이가 이런 일을 당했다면 나는 어떤 태도를 취해야할까라는 고민 아닌 고민도 잠시 해봤다.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태도를 잃지 않게 해주는 거겠지만.
작은 유진은 어린 시절의 기억을 찾으며 괴로움 속을 헤맨다. 성적도 떨어지고, 담배에 손도 대지만 작은 유진은 큰 유진을 통해 과거와 대면하게 되면서 자신도 몰랐던 춤에 대한 재능을 발견하기도 하고, 큰 유진과 소라라는 좋은 친구도 사귀게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동안 제대로 된 대화를 나누지 못했던 엄마와도 마주하게 된다. 자신의 내면과의 대화, 가족과의 대화, 그리고 사회와의 대화를 통해 하나의 인격체로 성장해가는 두 유진의 이야기가 나의 마음을 슬며시 파고 들어왔다. 결국 아이에게 필요한 건 관심과 사랑이라는 것을 새삼 느끼게 해줬던 책이었다.
두 유진의 치유와 성장이야기도 재미있었지만, 곳곳에서 발견한 나의 학창 시절때문에 괜시레 입가에 미소를 띠며 볼 수 있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엄청 유치했던 짝사랑에 대한 일화라던지, 입시에 대한 스트레스라던지, 사사건건 사생활에 간섭하려는 엄마에게 버럭했던 일, 동생에 대한 관심을 돌리고 싶어했던 마음 등의 이야기를 두 유진을 통해 볼 수 있었다. 내용 자체는 무겁지만 페이지는 가볍게 가볍게 넘어갔다. 중학생 이상의 청소년들이 읽으면 가장 좋겠지만,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도 한 번쯤 읽어봄직한 책이 아닐까 싶다. 이금이 작가와의 첫 만남, 꽤 괜찮은 만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