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서평단 설문 & 리뷰를 올려주세요
-
-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왠지 신경숙은 통속적인 작가라는 인식이 있어서 그런지 과제때문에 읽었던 <외딴 방>을 제외하고는 그녀의 작품을 제대로 접해본 적이 없다. 크게 호감도, 관심도 없었지만 최근 출간된 <엄마를 부탁해>의 경우에는 왠지 모르게 끌려서 한 번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하던 차에 우연히 서평도서로 받게 되었다. 읽고 있었던 책이 있었기에 원래대로라면 며칠 더 있다가 읽을 예정이었지만, 어떤 내용일까 궁금해서 몇 장 들춰본다는 것이 그만 마지막까지 읽어버리고 말았다.
생신상을 받기 위해 아버지와 함께 서울에 올라온 엄마. 하지만 지하철역에서 아버지는 엄마의 손을 놓치고 엄마는 실종된다. 실종된 엄마를 찾기 위해 전단지를 뿌리기도 하고, 신문에 광고도 내지만 엄마의 행방은 묘연하고, 이에 가족들은 저마다 엄마와의 추억을 떠올리게 된다. 1장에서는 큰 딸이, 2장에서는 큰 아들이, 3장에서는 아버지가, 4장에서는 엄마가 화자로 등장하며 대체 엄마에게는 그동안 무슨 일이 있어왔던 것인지 이야기한다.
생각해보면 나와 엄마는 성격이 극단적이기에 어릴 때부터 퍽하면 싸웠고, 퍽하면 얻어맞았다. 이제는 고향에서 상경해 서울에는 별다른 연고도, 친구도 없는 엄마의 친구가 되어 같이 서로의 일상을 시시콜콜 이야기하기도 하는 관계로 변했지만 어린 시절을 생각하면 정말 지지리도 싸웠다는 기억 밖에 나지않을 정도다. 그만큼 엄마한테 지은 죄가 많아서인지 이 책을 보면서도 몇 번이나 눈 앞이 흐려지는 것을 경험했다. 어지간해서는 '소설은 소설일 뿐!'이라고 생각하며 책을 덮는 순간 책 속의 세계와 안녕을 고하지만, 이 책만큼은 책장을 덮으면서도 가슴 한 켠이 시큰시큰했다.
책 속에서 머리가 깨질 것 같이 아파도 아프다고 내색하지 못한 엄마, 자신의 꿈을 버린 채 그저 엄마로 살아갔던 엄마의 모습을 보며 타인의 엄마가 아니라 우리 엄마가 오버랩되서 그랬을지도 모르겠다. 날씨가 추워지니 허리가 아프다고 하는 엄마, 제대로 교육받지 못한 아쉬움을 딸을 통해 풀려고 한 우리 엄마의 모습이 떠올라 자꾸만 울컥했다. 엄마에게 솔직하게 고맙다고, 미안하다고 말하지 못한 것이 자꾸만 신경이 쓰였다. 물론 엄마는 내가 말하지 않아도 내 마음을 알겠지만, 이 책을 보면서 더 늦기 전에 내 마음을 전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엄마가 실종되고 나서야 엄마의 존재를 깨닫게 된 가족들. 책 뒤에 실린 평론처럼 가족들은 엄마를 잃기 전에 잊고 있었다. 얼마 전 끝난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의 경우에도 이렇게 잊혀지고 있었던 엄마의 존재를 드러냈기에 많은 이들에게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었다. 나는 엄마같이 살지 않겠다고 당당하게 선언하는 여자들이 늘고 있다. 나 또한 엄마로서의 삶 뿐만 아니라 내 삶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왔기에 엄마는 어쨌다 저쨌다 할 때 반항하듯이 엄마처럼 살지 않겠노라고 이야기했었다. 하지만 그 말 한마디가 엄마의 삶을 통째로 부정해버릴 수도 있다는 생각에 그 옛날에 했던 그 말이 자꾸만 아물 수 없는 상처처럼 느껴져서 미안하고 또 미안했다.
책을 덮고 나지막히 '엄마.'라고 불러봤다. 항상 그 자리에 있을 것 같은 엄마의 존재. 이 책 속의 화자처럼 엄마가 없어지고 난 뒤에야 그 존재의 가치를 깨닫게 되는 후회는 범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을 새삼하게 됐다. 돈을 벌면 그 때 효도하겠다는 생각은 어디까지나 내 편의대로 하는 것일뿐, 그 때가 되면 이미 늦은건지 모르겠다는 깨달음을 얻었다. 책을 읽고 오랫만에 엄마의 다리를 베고 누워 함께 TV를 봤다. 평소같았으면 공부나 할껄 TV 같은 걸 왜 봤을까 후회했겠지만, 오늘만큼은 엄마와 함께 시간을 보냈다는 사실에 왠지 마음이 따뜻해졌다. 며칠 뒤면 엄마의 생신이다. 평소 책을 읽지 않는 엄마지만 엄마에게 이 책을 한 번 권해볼까 싶다. 엄마도 자신의 엄마를 생각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