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중력 증후군 - 제13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윤고은 지음 / 한겨레출판 / 200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한겨레문학상의 수상작을 고작 2권 읽어봤을 뿐이지만(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나의 아름다운 정원), 어느 정도 가벼움을 유지하면서도 주제 의식이 돋보이는 작품들인 것 같아 호감을 갖고 있었다. 그러던 중 올해 수상작인 <무중력 증후군>의 표지와 제목을 보고 이 작품도 왠지 재미있을 것 같다는 기대감이 들었고, 아니나 다를까 의외로 쏠쏠한 재미를 안겨줬다. 80년생 작가의 손에서 나온 작품이라 '너무 깊이감이 없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오히려 젊기때문에 만들 수 있었던 작품이 아닐까 싶었다. (그렇다고 너무 깊이감이 없고 가볍기만 한 소설은 아니었다.)
어느 날 달이 번식을 하기 시작한다.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달리 하나 더 생기고, 15일을 주기로 하나씩 달이 번식하기 시작한다. 겉으로 보기엔 별다른 변화가 없었지만, 달이 하나가 아니라는 사실에 사람들은 중력이 약해진 것처럼 점점 무중력 상태로 향해간다. 주인공 노시보의 엄마는 어느 날 달구경을 간다는 쪽지만 남겨둔 채 집을 나가버리고, 고시원에서 사는 형은 우렁각시처럼 찾아와 아버지가 기원에서 돌아오기 전에 요리를 해놓고 떠난다. 전화로 땅을 파는 주인공는 이런 세상의 무중력 상태를 한발짝 멀리서 바라보며 관찰자의 삶을 살려고 하지만, 그 역시 무중력 증후군을 앓고 있기는 마찬가지. 무중력자들이 점차 늘어나는 지구의 운명은 대체 어떻게 되는건지...
공상 과학 소설같은 제목을 갖고 있지만, 이 책은 공상은 모르겠지만, 과학과는 거리가 있다. 달이 늘어난 사건을 두고 언론에서 벌어지는 갖가지 토론들, 그리고 마치 종교처럼 퍼져가는 무중력자들, 달의 번식을 기회삼아 무중력을 아이템으로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까지 마치 달이 더 생기지 않았더라면 어쨌을까 싶을 정도로 사람들은 달의 번식에 한 편으로는 충격을, 한 편으로는 재미를 느낀다. 일종의 얄팍한 대중 심리랄까, 무중력 증후군이라는 병명까지 만들어내자 사람들은 유행병처럼 무중력 증후군을 앓고, 심지어 돈을 주고서라도 무중력 증후군을 앓기를 희망한다. 무중력이라는 이름을 붙이면 뭐든 팔리고, 무중력이라는 이름을 붙인 채 생산되는 많은 UCC들. 이것은 굳이 '무중력'이 아니라 다른 어떤 것으로 대체한다고 해도 익숙한 것이라 왠지 모르게 씁쓸한 웃음을 남겼다.
달이 더 생겨서 일어나는 사건들이란 사실 달이 없는 현실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사건들이었고, 처음에는 달이 하나 더 생겼다는 사실이 문자로 올만큼 중요한 뉴스였지만, 달이 6개가 되었을 때는 더이상 뉴스가 아니게 된다는 점들을 보며 뉴스에서 떠들고 있지만 않는다 뿐이지, 사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구 주위에 달이 몇 개씩 있는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중력의 작용이 없는 무중력 상태로 나아가고 싶지만, 차마 중력을 끊어버릴 수 없기에 무중력을 꿈꾸는 현대인들. 어쩌면 우리는 달이 하나 더 생기는 것처럼 지루한 일상에서 우리를 구원해 줄, 혹은 해방시켜줄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모든 것이 음모요, 모든 것이 처음부터 없었던 것이라 하여도, 무중력자들은 무중력의 그 순간만큼은 해방감을 맛볼 수 있지 않았을까 싶다. 이 책을 다 읽은 나도 책을 읽었던 순간만큼은 왠지 즐거운 일탈을 한 기분이 들었다.
책날개에 있는 사진만 보면 천상 여자같이 생겼지만, 여자 작가라면 떠올리기 쉬운 부드럽고 섬세한 문체가 아니라 더 의외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었다. (뭐 이또한 결국 중력처럼 알게 모르게 작용하고 있는 힘인가?!) 이런 말 하는 것도 식상할 지 모르겠지만, 윤고은의 다음 작품이 무척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