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렸을 때(?) 이야기다. 대학교 입학한 후 무지함과 천박함의 때을 벗고, 뽀대 나는 후광을 얻고자, 동아리를 이리 저리 기웃거리다 문학동아리를 가입했다. 문학 동아리도 격이 있는지라, 인문학도와 국문학도들이 유난히 많았던 유수의 문학동아리가 있는가 하면, 공대생들이 당시 공돌이라 부르던 인식의 틀을 깨고자 만든 독서토론회 동아리도 있었는데.... 당연 나는 독서토론회에 가입했다. (어렸어도 주제 파악은 확실하게 했던거다.) - 물론 나는 공대생은 아니다. 공대생만큼 무식한 티가 팍팍 나는 전공자일 뿐이다.
문제는 두 동아리가 같은 방을 칸막이로 나눠서 쓰고 있었다는 것. 한편은 시와 소설과 평론을 논했다면, 한쪽은 단편 소설을 주로 읽으면서 (장편을 하면 사람이 모이질 않아서..) 술과 노래 로 동아리 실을 떠들석하게 했다는 것이다.
두 동아리의 공통점이라고는 무진장 술을 마셨다는 것... 다만 한 쪽은 문학을 다른 한 쪽은 악을 써댔다는 것이 차이라면 차이다. (이런걸 문학동아리의 질적 차이라고 하는게다.) 또 중요한 차이점이 있었는데, 인문학도가 많던 동아리는 여학생들이 많았던 반면에 공대가 주축으로 만든 동아리는 시커먼 짐승들이 드글대는것이 전통이 되어 버렸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다른 편 동아리의 여학생들을 평상시부터 연구하고, 탐색해대는 적자생존의 버릇들이 생겼는데....
당시 나는 마지막 끝자가 '희'자로 끝나는 여학생에게 심장을 빼았겼고, 못먹는 술만 먹으면 악을 써대고 노래를 불렀는데....그 노래가 부활의 '희야'였던 것이다. 술만 먹으면 하도 애절 (?)하게 악을 써대는 지라...좁은 동아리방에서 술먹고 하는 짓이 그러하니 둔한 사람들마저 내 깊은 (?) 속마음을 알게되고, 곧 당사자까지 알게 되는 비극적 순간이 발생했다. (왜 비극적인가는 그 친구가 부담스러우니까 그 노래 부르지 말라고 해서였다)
고백도 하기 전에 끝나버린 내 짝사랑의 추억이 이 봄 저녁 라디오에서 흘러 나온다. 젠장 책도 안 읽히는데 말이다. 그 후로 난 '희야'를 절대 동아리 방에서 부르지 않았다. 그리고 '희'자로 끝나는 여자들을 만나면 뭔가 오그라드는 휴유증을 얻었다.
더불어 내가 좋아하는 부활의 노래 하나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