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十遍不如寫一遍. -<<鶴林玉露>>-

"열 번 읽는 것은 한 번 베끼는 것만 못하다.

 


 

  • 讀 읽을 독
  • 十 열 십
  • 遍 번(횟수) 편, 두루 편
  • 不 아닐 불
  • 如 같을 여
  • 寫 베낄 사
  • 一 한 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 1737~1805

Marx, Karl Heinrich, 1818.5.5~1883.3.14

  연암과 마르크스. 이 둘은 왠지 닮은 듯한 느낌이다. 손자가 그린 연암의 초상을 보면 마르크스보다는 다소 얼굴형이 가냘프지만 연암과 마르크스의 이미지는 우선 냉철한 느낌, 강인함, 大人의 풍채, 흰 수염(연암의 수염이 다소 얄팍하지만) 등등. 내가 연암을 먼저 알았고, 그의 초상을 보았으며, 후에 마르크스를 알았고, 그의 사진을 보았다. 아하! 마르크스를 읽으면서, 연암이 읽혀졌고, 마르크스를 보면서 연암의 초상이 떠올랐으니, 왜일까? 다만 이 둘이 외양만 닮았던 것이라면 아무리 그러해도 마르크스를 읽으면서 연암이 읽히는 듯한 느낌은 들지 않았을 것이다.

  고미숙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이란 책을 재미있게 읽은 기억이 있다. 그 책을 통해 나는 연암이라는 사람을 조금더 가까이 둘 수 있었던듯 하다. 거기에서 연암이 태양인이었을 거라고 말한다. 내가 볼 때 마르크스 또한 다분히 태양인이 아닐까 한다. 내가 뭐 사상체질에 전문가가 아닌 이상 구체적인 이유를 댈 수는 없겠지만, 그냥 내 느낌이 그러하다.

  그런데, 연암과 마르크스를 엮을 수 있는 것은 단순한 외양 이전에, 그 둘의 사상에 어떤 공통점이 있으리란 생각, 바로 그것이다. 연암 박지원은 흔히 북학파의 대두격이라 한다. 그는 세상을 바꾸고자 한 것이 아닐까? 그렇다면 마르크스와 일맥은 아닐테지만 상통은 한다. 마르크스 사상의 가장 중요한 테마는 세상의 변혁, 즉 혁명을 통한 세상의 변화 아닌가?

  그래서, 나는 마르크스와 연암을 공부하기로 한다. 마르크스의 사상과 연암의 사상의 공통점이 많을 것이라는 추측 혹은 예감, 아니 그런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내가 그것을 이루어내지 못할지라도 누군가 그러한 일을 해 볼 수 있을거라는 기대에 이 글을 쓴다.

  아 참 많이 닮았다. 또한 더 많이 닮았으리라. 연암과 마르크스가 동시대 인물은 아니지만, 설령 동시대인이었더라도, 연암이 마르크스를 알 수 없었고, 마르크스 또한 연암을 알 수 없었을 테지만, 그 둘 사이에는 시대를 넘고 공간을 넘는 무언가 일맥하는 상통이 있으리라는 기대를 가져본다. 오늘부터 이 기대를 잡고 시작해 보려 한다. 우선 마르크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입생 배정표 첫 집단 거부… 제주 5개 사립고
 

[국민일보 2006-01-06 00:35]

관련기사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OD&office_id=005&article_id=0000231312

  어제 뉴스를 통해 제주도의 사립학교들이 신입생들의 입학신청을 받지 않는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 여기에서 꼭 한 가지 집고가야 할 것은, 문제가 되고 있고 찬반 양자간의 치열한 대립을 낳고 있는 핫이슈 사학법의 옳고 그름이 아니라, 이러한 대립 가운데 희생될 수 밖에 없고, 그 피해를 온전히 받을 수 밖에 없는 이 나라 이 땅의 저 죄없는 학생들이라는 사실이다.


  나는 사학법의 정당성을 논하고 싶지 않다. 현재의 이러한 대립과 반목 가운데 온당한 논의는 존재할 듯 싶지 않기 때문이다. 한쪽에서는 사학법은 정당한 것이고 그것을 반대하는 자들에게는 비난하고, 또 다른 쪽에서는 사학법은 그 자체를 그대로 악법이라 치부하고 그것을 찬성하는 것은 나라를 망치는 길이라 폭언하니, 이 극렬한 대립의 상황에서 더이상 어떠한 토론과 토의는 존재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모두 잘 알고 있지 않은가? 우리의 대화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상대에 대한 존중과 이해가 필요하다는 것을.

  이러한 상황이 있기까지 사학법을 마구잡이로 밀어부쳐 번갯불에 콩 구어 먹듯이 통과시킨 여당이나, 사학법을 사악법이라 규정하고 온전한 논의를 막무가내 무시한 야당이나, 모두 다 비난받아 마땅하다. 하지만 이 상황에서 그 비난을 뒤로 미루고 먼저 살펴야 할 것이 있다.

  현재 사학측에서 2006년도 신입생들을 전면 거부하겠다고 선언한 것이 현실이 되어 버렸다. 정부측에서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이러한 불법행위에 대해 제재를 가한다고는 하지만, 과연 그것이 저 죄없는 우리 학생들에게 돌아갈 피해를 막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바로 여기에 사학법을 두고 대립하는 양자가 지켜야할 도리가 있으며, 원칙이 존재한다. 그것은 즉, 우리 학생들에게는 어떠한 피해와 희생이 있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학생들이 무슨 죄가 있는가? 학생들이 이 나라 이 땅에서 어느 한 순간에라도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하는 일은 이 나라 이 땅이 망하는 길이라 단언할 수 있다. 또한 교육의 기회를 박탈하는 처사는 헌법에 명시된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침해하는 용서받지 못할 범죄임에 틀림없다. 과연 이 사학법에 학생들의 권리를 저당잡혀야 하겠는가? 아니, 지금 바로 이 학생들의 권리가 저당잡혀 있음을 볼 때 나는 탄식을 금치 못 한다.
교육이 백년지계라 함을 모두 잘 알고 있으리라. 그것을 온전한 논의의 과정을 거치지 못하고 통과시킨 정부여당에도 문제가 있음이 분명하다. 또한 이것을 학생들을 볼모로 하여 반대하는 무리들은 그들의 주장의 정당성에 심각한 훼손을 가져오는 악행이다.

  나는 여기서 단 한 가지를 그들 모두에게 당부하고자 한다. 그것은 바로 우리 자라나는 학생들이 어떠한 이유로든 피해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자명한 이치이다. 정부나 여당 측에서는 대화의 길을 열어놓는 자세가 필요하고, 사학법에 반대하는 사학법인 및 단체들은 그들의 교육자적 자세에 입각하여 정당한 반대를 해야 한다. 그것은 학생들에게 돌아갈 피해를 막아내는 유일한 길이 아닐까 한다.

  나는 앞으로 교육자의 길을 가려고 하는 한 사람으로서, 나의 선배라 할 수 있는 지금의 사학관계자들에게 가장 깊은 우려와 탄식으로 고언하고 싶다. 교육자가 지켜야 할 것은 과연 무엇인가? 그것은 내가 가르치고 기르는 저 학생들이 아닌가? 더이상 그들을 볼모로 내세워서는 안 될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현재 <독서와 명언>(1~20)에 쓰인 한자 정리

* 한자는 가나다 순으로 정리하였으며, (  )안의 숫자는 해당 페이퍼를 가리킴.

 


 

ㄱ(24자)

  • 볼 간 (8, 17)
  • 사이 간 (1)
  • 익힐 강 (10)
  • 살 거 (13)
  • 물건 건 (1)
  • 볼 견(보이다) (9)
  • 시각 경, 고칠 경, 다시 갱 *三更 : 밤 11시부터 새벽 1시까지 (14)
  • 다스릴 경, 날실 경 (4)
  • 이을 계 (7)
  • 옛 고 (4, 7)
  • 공 공 (2)
  • 매길 과 (11)
  • 지날 과, 지나칠 과 (14)
  • 볼 관 (4)
  • 건질 구, 구원할 구 (19)
  • 구할 구, 빌 구, 탐할 구 (20)
  • 나라 국 (19)
  • 군자 군, 임금 군 (13, 15)
  • 궁구할 궁, 다할 궁(6)
  • 귀할 귀 (3, 10)
  • 이제 금 (7)
  • 미칠 급 (2)
  • 그 기 (4, 8, 9, 10, 17)
  • 자기 기 (16)

ㄴ(1자)

ㄷ(7자)

  • 많을 다 (17)
  • 큰 대 (13)
  • 대할 대, 대답할 대 (12)
  • 한갓 도, 무리 도 (8)
  • 길 도 (6)
  • 읽을 독 (1, 2, 4, 5, 6, 11, 13, 14, 15, 19, 20)
  • 얻을 득 (4, 7, 15, 18)

ㄹ(4자)

  • 어지러울 란 (4)
  • 이로울 리 (3)
  • 다스릴 리 (4, 6)
  • 리(거리를 재는 단위) 리, 마을 리 (14)

ㅁ(13자)

  • 없을 막 (6, 11)
  • 일만 만 (2, 15)
  • 잊을 망 (19)
  • 눈 목 (8)
  • 없을 무 (8, 13, 14)
  • 말없을 묵, 잠잠할 묵 (8)
  • 물을 문 (18)
  • 글월 문 (4, 8)
  • 들을 문(들리다) (9)
  • 말 물 (12)
  • 만물 물 (13, 15)
  • 맛 미 (9, 14)
  • 백성 민 (15)

ㅂ(13자)

  • 장기 박, 노름 박, 넓을 박 (13)
  • 반 반 (7)
  • 바야흐로 방, 모 방 (15)
  • 헐뜯을 방 (13)
  • 뒤집을 번, 날 번 (12)
  • 무릇 범 (8, 18)
  • 법 법 (11, 16)
  • 걸음 보 (14)
  • 보탬(보탤) 보, 도울 보, 기울 보 (18)
  • 부자 부 (3)
  • 아닐 부(불) (8, 9, 11, 13, 14, 17, 19, 20)
  • 나눌 분 (7)
  • 가난할 빈 (3)

ㅅ(31자)

  • 일 사 (1, 13)
  • 넉 사 (2, 14)
  • 생각할 사 (15)
  • 선비 사 (2, 13)
  • 석 삼 (14)
  • 찾을 색 (8)
  • 글 서 (1, 2, 3, 4, 5, 6, 8, 11, 12, 13, 15, 16, 17, 18, 19, 20)
  • 해석할 석 (8)
  • 먼저 선 (6, 7, 16)
  • 좋을 선, 잘할 선, 착할 선 (11)
  • 성스러울 성 (5)
  • 대 세 (2)
  • 작을 소 (13)
  • 적을 소 (20)
  • 바 소 (10)
  • 욀 송 (8)
  • 드리울 수 (2)
  • 비록 수 (7)
  • 모름지기 수 (4)
  • 잘 수 (12, 13)
  • 머리 수 (12)
  • 바를 시 (1)
  • 볼 시(보다) (9)
  • 먹을 식, 밥 식(사) (9)
  • 기지개 켤 신, 펼 신 (12)
  • 몸 신 (5)
  • 잃을 실 (4)
  • 열매 실 (4, 10)
  • 마음 심 (4, 8, 9)
  • 심할 심 (20)
  • 열 십 (14)

ㅇ(35자)

  • 편안할 안 (14)
  • 어조사 야 (7, 8, 10)
  • 밤 야 (14)
  • 묶을 약, 맺을 약, 약속할 약 (17)
  • 만일 약, 같을 약 (8, 12)
  • ~보다 어, 어조사 어 (6, 11)
  • (구말) 어조사 언, 어찌 언 (9)
  • 말씀 언 (5, 20)
  • 또 역 (8)
  • 풀이할 역, 끌어낼 역 (8)
  • 침 연 (12)
  • 그러할 연 (7, 13, 15)
  • 나 오 (18)
  • 익힐 온, 따뜻할 온 (8)
  • 익을 완, 희롱할 완 (8)
  • 중요할 요, 구할 요 (5, 17)
  • 쓸 용 (4, 10)
  • 또 우 (4)
  • 붙일 우, 살 우 (8)
  • 어리석을 우 (3)
  • 근원 원 (4)
  • 할 위 (10, 13)
  • 생각할 유, 오직 유 (18)
  • 있을 유 (12, 18)
  • 머무를 유 (4)
  • 기를 육 (15)
  • 뜻 의(8, 15)
  • 옳을 의 (7)
  • 써 이 (5, 7, 8, 12)
  • 말이을 이 (8, 9, 14)
  • 유익할 익, 더할 익 (8)
  • 사람 인 (1, 4, 13)
  • 인할 인 (3)
  • 한 일 (1, 2, 18)
  • 들 입 (6)

ㅈ(20자)

  • 사람 자, 아들 자 (13, 15)
  • 사람 자, 놈 자 (3, 10, 18)
  • 잠길 잠 (8)
  • 있을 재 (8, 9)
  • 어조사 저, 밑 저 (15)
  • 정할 정 (16)
  • 편안할 정, 꾀할 정 (20)
  • 구제할 제, 건널 제 (4)
  • 차례 제 (1)
  • 손톱 조 (12)
  • 지을 주, 만들 주 (15)
  • 주낼 주 (8)
  • 가운데 중 (18)
  • 곧 즉, 법칙 칙 (13, 14)
  • ~의 지, 갈 지 (4, 5, 7, 11, 16, 18)
  • 뜻 지, 맛있을 지 (12)
  • 뜻 지 (16)
  • 그칠 지 (14)
  • 알 지 (4, 7, 9, 17)
  • 종이 지 (12)

ㅊ(11자)

  • 이 차 (7)
  • 간여할 참 (8)
  • 캘 채, 가려 낼 채 (18)
  • 엮을 철, 주울 철 (18)
  • 맑을 청 (1)
  • 들을 청(듣다) (9)
  • 재채기 체 (12)
  • 몸 체 (5)
  • 꾸짖을 초 (13)
  • 베낄 초, 노략질할 초 (16)
  • 날 출 (14)

ㅌ(3자)

  • 끌 타 (拖와 동자) (11)
  • 은혜 택, 못 택, 윤택하게 할 택 (2, 15)
  • 통할 통 (7)

ㅍ(3자)

  • 표할 표, 우듬지 표 (12)
  • 피할 피 (12)
  • 반드시 필 (5, 7, 16, 17)

ㅎ(15자)

  • 어찌 하(의문), 꾸짖을 가 (13)
  • 학문 학, 배울 학 (4, 10, 18)
  • 쉴 한, 한가할 한 (13, 20)
  • 기침 해 (12)
  • 바다 해 (2)
  • 풀 해 (20)
  • 다닐 행 (5, 7, 14)
  • 바둑 혁, 클 혁 (13)
  • 어질 현 (3, 5)
  • ~에 호, ~인가 호 (10)
  • 좋을 호, 좋아할 호 (20)
  • 혼미할 혼, 어두울 혼 (13)
  • 돌 회 (12)
  • 뒤 후 (7, 15)
  • 하품 흠 (12)

 


 

이상 총 180자.

즐거울 낙 (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閑靖少言, 好讀書, 不求甚解. -陶淵明-

"한가하고 편안하게 생활하며 말을 줄이고, 책 읽기를 좋아하나 깊이 따지려 하지는 않는다."

 


 

  • 靖 편안할 정, 꾀할 정
  • 少 적을 소
  • 好 좋을 호, 좋아할 호
  • 求 구할 구, 빌 구, 탐할 구
  • 甚 심할 심
  • 解 풀 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