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의 정체성 - 오스왈드 챔버스의 오스왈드 챔버스 시리즈 7
오스왈드 챔버스 지음, 스데반 황 옮김 / 토기장이(토기장이주니어) / 2009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오스왈드 챔버스의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은 진짜 크리스천이 어떤 사람인지를 다뤄준다. 크리스천이라 불리는 사람들은 너무나 많다. 또한, 스스로 크리스천이라고 시인하는 사람들이 아주 많다. 그러나 오스왈드 챔버스는 그들 모두에게 '당신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인가?'라고 묻는 것 같다.

 

 첫 장에서 이미 진짜 그리스도인이 누구인지 밝혀준다. '그리스도의 영이 임한 사람' 즉, 성령의 인치심을 통해 성령으로 말미암아 거듭난 참 그리스도인. 그러나 이것이 결론이 아니다. 정말 믿은 그리스도인이 누구인지 말한 다음 더 나아간다. 그렇다면 거듭난 그리스도인이 된 것이 전부인가?

참 그리스도인 안에도 많은 부류가 있다. 믿음과 신앙의 다양한 모습으로 참 그리스도인들도 자리를 잡고 있다.

 

 챔버스가 말하는 참 그리스도인과 그 정체성은 무엇으로 나타나는 것일까? 물론, 그 처음은 성령으로 거듭남이다. 그리고 그 다음. 그의 주된 관심이 하나님께 있는 것, 그리스도와 일치되는 것, 자아실현이 아닌 그리스도 실현을 원하는 것, 옛사람을 버리고 그리스도를 선택하는 것, 전 인격적인 믿음, 기쁨으로 살아가는 삶, 제자훈련, 지금 현재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하며 사는 삶.

 

 바로 그것들이 거듭난 그리스도인이면서 참된 신앙의 삶을 살아가는 REAL CHRISTIAN의 정체성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챔버스의 설교를 들어보면 그가 얼마나 맑고 섬세한 영혼의 소유자였는지 금방 드러난다. 오히려 소극적인 우리에겐 어색할 정도이다. 아마도 그는 완벽주의자였을 것이다. 그의 설교에서 그리스도인의 완전에 대한 갈망 같은 것을 느끼게 된다. 아마 이러한 그의 성향은 10대에 회심한 이후 대학진학 중 목회로 전향했던 배경도 한 몫을 차지한 것 같다. 즉, 처음의 순수한 마음을 유지하기가 좀 더 쉬웠을 거란 얘기다. 더불어 그가 지닌 천성적인 영적 감수성도 있었을 것이다. 물론, 그의 많은 기도와 경건의 훈련들이 없이는 불가능했겠지만 말이다. 챔버스의 글에서 논리적이지만 오히려 더 섬세하고 영감어린 감수성을 느끼게 된다. 마치 조금은 수도사적인 그런 느낌이랄까?

 

한편, 이러한 그의 결벽에 가까운 경건성은 다른 신앙위인들을 통해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찰스 피니가 완전주의자이면서 냉철한 사고와 통찰력이 돋보인 이성가였다면, 챔버스는 섬세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완벽을 추구하는 사색가에 가까웠다. 그리고 이 둘 사이에 어쩌면 웨슬리나 조나단 에드워즈가 있을지 모르겠다. 그리고 챔버스보더 더 멀리에 매우 감성적이었던 로버트 맥체인과 데이비드 브레이너드가 있을 것 같다.

 

이제 책의 한 부분을 소개하겠다. '그리스도인의 주된 관심은 하나님께 있다'라는 챕터의 한 글귀이다.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집중하는 것보다 종교적인 일에 더 관심이 많다. 진정한 예배보다 행사에 마음을 빼앗긴다. 하나님께 집중하기보다 사람들의 눈에 띄는 여러 일들에 신경을 쓰며 기도회를 인도하고 여러 모임을 갖는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정말로 당신을 모든 사람들의 눈에 가장 잘 띄는 그 자리에 두신 것이 맞을까? 당신은 왜 그러한 자리에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 같은데, 평범한 삶으로 돌아와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지 못하는가?... 하나님은 우리가 항상 그 무엇보다 주님께 더 큰 관심을 갖기를 원하신다... 스스로 필요한 사람이 되려고 애쓰지 말라. 당신의 모습 그대로 주님게 드리라. 그러면 하나님께서 주님의 목적을 이루시기 위해 당신을 더욱 크게 사용하실 것이다.'

 

한편, 이 글귀에서도 가늠할 수 있지만 챔버스의 모든 글에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한 가지 중심사상은 '하나님과 홀로 독대한 자아'이다. 하나님과의 1:1 관계에서 자기를 살펴보고 자신을 발견하는 것. 그것을 끝없이 시도하고 자신을 돌아보는 것이 챔버스의 경건의 훈련이자 연습이었음을 그의 글들을 통해 어렵지 않게 발견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