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100세 시대의 투자경제학 미래에셋 투자교육총서 15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엮음 / 김&정 / 2011년 1월
평점 :
절판


회사에서 미래에셋 지점장님이 가져다 놓고 간 책 중 하나다. 틈틈히 읽어보았다.

이 분야에 대해 아직 학습이 많이 부족해 뭐라고 하긴 어렵지만, 그렇게 두껍지도 않아서 그나마 좀 다가서기 쉬웠던 것 같다. 내용도 투자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아우르고 이써서 입문서 정도로도 괜찮을 것 같다. 더구나 값도 저렴하다.

 

주안점은 앞으로 다가올 100세 시대를 대비해 어떻게 준비하고 투자할 것인가를 다루는 것이다.

처음부터 겁을 준다. '생각보다 오래 산다.'

2008년 기준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80.1세. 의학발전을 고혀할 때 환갑까지 살아남으면 평균 남자는 91세 여자는 97세 정도 살 수 있다고 전망한다. 반면, 퇴직시기는? 평균 57세.

문제는 퇴직이후 생활비. 자녀리스크. 인플레이션. 유병장수. 독거장수. 무전장수.

(글쎄, 근데 또 십 수년 후엔 어떤 정책의 변화가 있을지? 라이프패턴이 바뀔지는 고려하지 않았다.)

이런 미래예측의 상황에서 연금이나 펀드. 보험. 자산분배 등 전반적으로 어떻게 자산을 만들고, 유지하고, 관리할 것인지 조언해주고 있다. 아무튼 어렵다. 전문용어 좀 나오고, 숫자계산이나 프로테이지 좀 나오니까 멍하다. 뭐 있어야 분산투자를 하지-_-;;

 

몇 가지 팁이 었다면, 예금금리가 낮은 요즘 소위 주식이나 펀드의 수익률이 좋은 걸 많이 하는데 결과적으로 보면 꼭 그렇지 만은 않다고 한다. 주식이나 펀드는 기폭이 크기 때문이다. 종착지점에서의 평균수익률은 오히려 정기예금보다 못한 경우가 많다. 그리고 뭐든 장기간 투자해야 되는데 평균 펀드기간은 1년6개월이란다. 펀드 뿐이겠는가. 보험도 마찬가지겠지. 결국 상품이나 수익률만 보고 덜컥 물었다가는 중도에 하차하면서 업체만 배불리는 꼴. 차라리 얇고 길게 가고, 굻고 짧게 가는게 키포인트 같다.

 

그리고 복리투자. 이건 항상 나온다. 그만큼 기본이고 중요하단 애기겠지. 쉽게 접고 가자. 투자해서 이자붙어서 상환되면 다시 올 투자. 그러면 그게 복리투자다. 꼭 복리상품에 가입 안 하더라도. 투자 이전에 절약. 또는 keeping. 다만, 인플레이션이 있으니까 keeping 이상의 조치가 요구될 뿐이다.ㅠ.ㅜ

 

어쨌든 이 책을 읽고 사람들이 난리법석을 피우는 주식. 펀드 그게 그닥 그렇지 만도 않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연금이 좋다는 것도. 또, 보험은 사고확률보다 사고가 났을 때 손실을 많이 발생시키는 것을 드는게 좋다는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