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회심 - 심리적인 것인가, 영적인 것인가?
마틴 로이드 존스 지음, 이정선 옮김 / 생명의샘 / 199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하나의 논제로부터 난해한 시작이란 느낌을 받았지만 이 짧은 책자 안에서 복음전도에 있어서 간과해서는 안 될 중요한 교훈을 얻는다. 번역상 매끄럽게 읽기에 좀 어려운 문장들이라 좀 더 풀어서 해설식으로 접근했으면 하는 아쉬움도 살짝 있었다.
이 책은 일종의 변증서와 같다 할 수 있다. 정신과 의사인 윌리엄 사강(감리교신자) 박사의 저서 ‘Battle for Mind'에 대한 로이드 존스 목사의 변증이다.
윌리엄 사강은 오늘날 잘 알려진 ‘파블로프의 개, 조건반사’에 대한 자료를 접한 뒤 이것이 자신의 관념유도법과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조건반사는 개에게 먹이를 줄 때, 종을 울리기를 반복하다가 나중에 종만 울리자 개가 침을 흘린 것을 말한다. 이처럼 사람이 어떤 훈련이나 방법으로 정신에 영향을 미치게 함으로써 원하는 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추론을 하게 된다. 공산주의의 세뇌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후 윌리엄 사강은 개인적인 실험(관념유도법)에서 탱크부대 소속의 한 병사의 정신적외상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정신적 붕괴 상태를 지나 회복이 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고 한다. 전쟁의 참상을 최면 상태에서 재생시킨 후 당시의 극단적인 흥분까지 다달을 때까지 계속했다. 그리고 그러한 과거 경험의 재현을 통해 드물게 치료 효과를 얻었다.
이런 사강 박사의 경험 이후 아버지의 서재에서 ‘존 웨슬리의 일기’를 발견했는데, 거기서 성령의 각성과 흥분에 관한 대목을 접했다. 그리고 그는 그것이 자신의 경험과 실험에 일치하는 현상으로 결론 내렸다. 이로써 그는 회심이 영적인 사건이 아니라 앞서의 경험과 마찬가지로 관념유도법과 동일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어떤 충격적인 방법으로 멘탈이 붕괴되고 그 이후가 되면 어떤 목적하는 가르침을 쉽게 주입할 수 있다는 것이 관념유도법의 개념이었다.
로이드 존스 목사는 이러한 사강 박사의 위험한 사상을 반박하고, 변증하는 동시에 이것이 복음을 전하는 그리스도인에게 주는 하나의 경고라고 언급한다. 물론, 회심은 성령의 사역이고. 사강 박사와 같은 주장은 앞 뒤 상황을 전혀 배제한 하나의 장면만을 놓고 펼쳐지는 주장으로 바울이 극적인 회심에 이르기 전 상황을 설명할 수 없다. 제자들이 오순절 갑작스런 성령세례를 받았는데 그 이유도 설명할 길이 없다. 기타 여러 반박과 변증이 설명되어진다. 결론에서 로이드 존스는 단지 반박만 말하지 않고, 이러한 사건으로부터 그리스도인이 유념해야 할 교훈을 말한다. 적어도 오늘날 어떤 현대적인 방법론에 의존해 복음을 전하고 회심을 이끄는 것들 중에 충분히 그런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즉, 전도를 위한 어떤 인간적인 기교를 주의해야 된다는 것.
(고전 2:1-5) 『[1] 형제들아 내가 너희에게 나아가 하나님의 증거를 전할 때에 말과 지혜의 아름다운 것으로 아니하였나니 [2] 내가 너희 중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 외에는 아무 것도 알지 아니하기로 작정하였음이라 [3] 내가 너희 가운데 거할 때에 약하며 두려워하며 심히 떨었노라 [4] 내 말과 내 전도함이 지혜의 권하는 말로 하지 아니하고 다만 성령의 나타남과 능력으로 하여 [5] 너희 믿음이 사람의 지혜에 있지 아니하고 다만 하나님의 능력에 있게 하려 하였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