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적감수성과 설득의 논리

아이들을 말씀으로 양육하려는 교사의 본래 목적과 취지를 잘 이뤄가기 위해 교사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자질을 저는 두 가지로 말씀 드리고 싶습니다.

예전에도 가정교제를 하면서 언급한 바 있지만 가장 첫 번째는 ‘영적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언제나 ‘성경의 이야기’가 정말 그냥 이야기. 즉, 하나의 사가(saga)-무용담으로 전달될까 두렵습니다. 보편적으로 교사들은 설교와 교제를 통해 자신이 배운 바에 준해 앵무새처럼 그것을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것에 더 익숙한 모습을 보입니다.

풀어서 설명 드리면, 우리는 가르치기 전에 먼저 배우는 자들입니다. 우리는 배움을 통해 하나님과 성경에 대한 하나의 보편적인 기준을 갖고 있습니다. 나름의 차이는 조금씩 있지만 대부분은 거의 어느 범주에 맞아 떨어지는 일관된 학습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아이들에게도 성경을 가르칩니다. 그런데 교회가 인정하는 보편적 진리를 객관적으로 잘 전달하고 있는지는 몰라도 그것을 스스로가 묵상하고 관찰해봄으로써 얻은 감동과 깨달음이 부족하게 되면 그 가르침은 앵무새처럼 답습하는 하나의 ‘무미건조한 설명’에 그칠 뿐입니다. 교사가 할 일은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진리를 전달함과 동시에 ‘혼’을 불어넣는 일을 해야 합니다. 그것을 하지 못하는 교사는 사실상 교사의 본분을 다하고 있지 않은 것입니다.

교사들의 분반을 유심히 들어보면 아직은 이런 ‘혼’을 불어주는 부분이 부족하지 않나 싶습니다. 우리가 보다 나은 아이들의 영적성숙과 사고의 변화를 이끌어주기 위해서는 영적 감수성이 개발된 교사가 절실히 필요합니다. 우리는 객관적으로 전달하는 것 못지 않게 가슴으로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두 번째, 교사들은 ‘설득의 논리’를 갖춰야 합니다. 사람은 이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사람은 자기만의 사고의 논리를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의견이든 그냥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 논리에 준하는 것을 걸러서 수용합니다. 아이들 역시 자기 사고의 능력 안에서 그런 방식으로 수용하는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교사들은 아이들의 수준에 맞게 설명해줄 수 있어야 하며, 그것을 개발시켜 나가야 됩니다. 또한, 충분한 설득의 논리로써 진리를 설명함으로써 수긍할 수 있게 해줘야 됩니다. 아무리 뜨거운 가슴과 혼으로 말할지라도 그것이 합리적인 논리를 갖지 못한 것이 되면, 납득할 수 없게 되고 의구심을 품게 됩니다. 그러면 그것은 수용되지 못하며, 설득력을 잃습니다. 설득력을 잃는다는 것은 변화의 동기를 주지 못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므로 유능한 교사는 누가 들어도 보편적으로 납득할 수 있는 충분한 ‘설득의 논리’와 더불어 이에 혼을 넣은 ‘영적 감수성’을 겸해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교수법을 지닌 교사가 되고자 기도하고 계십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