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은 그곳에만 계시지 않는다

(막 1:36-39, 개역) 『[36] 시몬과 및 그와 함께 있는 자들이 예수의 뒤를 따라가 [37] 만나서 가로되 모든 사람이 주를 찾나이다 [38] 이르시되 우리가 다른 가까운 마을들로 가자 거기서도 전도하리니 내가 이를 위하여 왔노라 하시고 [39] 이에 온 갈릴리에 다니시며 저희 여러 회당에서 전도하시고 또 귀신들을 내어 쫓으시더라』

예수님의 병고치는 사역과 은사는 실로 많은 사람에게 이슈였다. 그것은 현실을 살아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실제적인 도움이었고, 실제적인 은혜처럼 보였다. 그러므로 많은 병자들이 예수님을 찾아왔다. 더구나 당시의 의술을 고려할 때 얼마나 많은 병자들이 있었을까?

예수님이 기도하시던 미명에 병자들은 이미 병고침을 얻고자 미명에 나아왔다. 급기야 제자들이 예수님을 찾아 나섰다. 제자들은 습관적으로 예수님의 기도처로 나아갔을 것이다. 추측컨대 미명에 기도하는 것은 예수님의 습관이었을 것이다.

예수님을 찾아온 제자들은 공손히 예수님께 많은 병자들이 이 미명에 이미 찾아와 문 앞에 용신해 있음을 알렸다. 제자들은 예수님이 얼른 내려와 그들을 맞이해 주실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그날 새벽 예수님은 전혀 의외의 발언을 하셨다. ‘아니다. 오늘부터는 우리가 다른 가까운 마을로 가야 한다. 그곳에도 병자들이 얼마든지 있으며, 나는 그곳에서도 전도해야 한다.’

동의보감을 쓴 허준의 일대기에 보면 허준이 마을 사람들의 요청을 받아들여 갈 길을 미루고, 그 마을에 더 남아 의술을 펼침으로써 인간애를 보여준 사실이 있다. 그러나 예수님은 달랐다. 오히려 예수님은 다른 인간애를 보여주신다.

사람들은 누구나 예수님이 자기 마을에 오래 더 남아 있길 원했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그들의 이기심일 뿐이었다. 병자들은 사방 어디에든 지천으로 널려 있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모두에게 필요했으며, 예수님은 모두의 그리스도였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자신의 본분과 자신의 사역이 어느 한 지역에 국한되고 특혜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았다. 그것이야 말로 모두를 위한 인간애였으며, 공평한 처사였다.

우리 역시 우리가 무엇인가를 할 수 있고, 은혜를 줄 수 있고, 영향력을 줄 수 있다면 우리는 우리의 마음이 가는 곳으로만 향하고 머물기 보다 더 넓게, 더 많은 곳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