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의 제자가 된다는 것

(막 1:16-20, 개역) 『[16] 갈릴리 해변으로 지나가시다가 시몬과 그 형제 안드레가 바다에 그물 던지는 것을 보시니 저희는 어부라 [17] 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를 따라 오너라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하시니 [18] 곧 그물을 버려두고 좇으니라 [19] 조금 더 가시다가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그 형제 요한을 보시니 저희도 배에 있어 그물을 깁는데 [20] 곧 부르시니 그 아비 세베대를 삯꾼들과 함께 배에 버려두고 예수를 따라가니라』

예수님은 자신의 사역의 효율성과 자신에 대한 증인 및 그의 부활 승천 후에도 복음사역의 지속성을 위해 특별히 제자들을 선발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셨습니다. 이것은 너무나 당연한 논리입니다. 예수님은 하나님이시지만 성육신 하심으로 해서 그는 공간과 시간의 제약을 받는 인간의 모습이 되었습니다. 예수님의 사역은 인간으로써의 사역이었으며 그럼으로 그의 사역에는 여러 가지 제한점이 존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므로 예수님은 그에 순응하는 일련의 방편이자 방법론으로 제자들을 부르시고 그들을 증인이자 증거자로 삼아 복음의 사역에 역사성과 지속성을 부여코자 하셨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제자가 된다는 것은 어떤 의미였을까요? 그것은 역사적인 사건에 참여하는 것이었으며, 전혀 새로운 상황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었습니다. 상식적으로 볼 때, 제자들의 행보는 ‘광신적’이었습니다. 그것은 객관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 어느 날 나의 누이, 나의 동생이 직장에서 뛰쳐나가 메시야의 제자가 되겠다고 나선다면 어떻겠습니까?

시몬과 안드레는 어부였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이 하는 일은 일상적이었고, 너무나 평범했습니다. 여느 때와 다를 바 없이 그들은 배 위로 올라가 해변의 연안 가까운 곳에 배를 띄워놓고 바다에 그물을 던지고 있었습니다. 그렇습니다. 바다에 그물을 던지고 있는 어부의 모습. 그것이 그들 생계의 가장 적합하고 안전한 모습이었습니다. 그런 그들에게 갑자기 나타난 예수님께서 이제 더 이상 물고기를 낚지 말고, 사람을 낚으라고 하시는 것입니다. 그것은 어부들에게 이제 더 이상 바다에 그물을 던지지 말란 말이었습니다.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이것은 거의 미친 소리였습니다. 은행에 가서 창구직원에게 이렇게 물어본다고 생각해봅시다. ‘이제 더 이상 은행에서 돈이나 세지 말고 나와 함께 추종자를 모읍시다.’

그러나 하나님의 섭리하심으로 해서 전혀 용납될 수 없는 요구가 받아들여졌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생각해야 합니다. 하나님의 섭리의 초월성과 불가역성을. 그들은 조금의 망설임 없이 그물을 버렸습니다. 어부가 그물을 버렸습니다. 생계의 수단을 버렸습니다. 그것은 그들의 생계수단과 삶의 방식이 완전히 바뀌어질 것을 예비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들은 직감했습니다. 그들은 여전히 어부처럼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그러나 그들이 더 이상 바다에 그물을 던져서는 되지 않는다는 것을. 그들은 이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어야 하며 그 수단과 방법은 전적으로 신적 권능으로 낚아야 된다는 것을 말입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바뀌어진 생계수단과 방법에 즉각적으로 이해하고 반응했습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전혀 거리낌 없이 낡은 그물은 바다에 던져 놓은 채 다시 거두지 않고 버려버렸습니다. 이제 더 이상 물고기는 필요 없어졌습니다.

이처럼 우리가 세상에 나아가 사람을 그리스도께로 인도할 때 우리는 전혀 다른 수단과 방법에 의존해야 합니다. 그것은 오직 위로부터 오는 신적 능력이며, 하나님의 행하심에 의존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 말은 인간적 매력과 방법이 무용하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그러나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하나님께서 인간적인 방편과 수단을 활용하실 때는 유용하지만 하나님의 섭리하심이 개입되지 않을 때는 인간적인 방편과 수단은 무용할 뿐이란 사실을 말입니다. 다시 말해, 인간적 능력과 수단에 어떤 힘이 있는 것은 아닌 것입니다.

다시 예수님은 야고보와 요한에게로 다가가셨습니다. 그들 역시 어부였습니다. 그들 역시 어부란 생계에 적합한 방식의 활동에 몰두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그물을 던져 물고기를 낚기 위해 낡고 닭아 구멍이 생긴 그물을 깁고 있었습니다. 예수님이 그들을 부를 때 그들 역시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즉각적으로 반응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두 가지를 버렸습니다. 생계수단을 버림과 동시에 아버지를 버렸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모습 속에서 또 다른 교훈을 발견케 됩니다. 그물을 던지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물을 기워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사람을 인도하기 위해 우리는 사람들이 빠져나가는 다양한 방법들을 하나님의 섭리 안에서 제한하고 통제해야 합니다. 그것은 우리의 행위 가운데 실천 되야 하는 것이면서 또한, 하나님께서 통제하셔야 될 문제입니다. 다양한 변수들이 작용하며, 다양한 마귀적 상황들이 발생하여 우리가 던진 그물에 여전히 빈틈이 남아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영혼을 끌어올리다 놓쳐버리고 맙니다. 야고보와 요한이 특별히 그물을 던지기에 앞서 성실히 꼼꼼히 그물을 정비했음을 생각해봅시다. 우리는 복음 전도에 앞서 성실하고 꼼꼼히 기도와 준비, 상황에 대한 다양한 방비를 생각하며 하나님의 도우심이 그물 구석구석에 작용해줄 것을 구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아버지를 버렸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그들은 결코 죽는 날 까지 아버지를 버리지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여기서 아버지를 버렸다고 말하는 것은 그들이 인간적인 혈육을 관계 그 이상으로 하나님의 사역을 앞에 두게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무엇보다 그들의 가장 중요한 사명은 가족애를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복음을 완성하는 일에 참예하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제 아비나 어미를 버려서는 안 됩니다. 그러나 반드시 주목해야 할 사실은 오늘 현재 부모님이 이 자리에 있을 지라도 예수님이 부르실 때는 그 자리를 떠나 그리스도의 일에 참예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이것은 조금도 배은망덕한 것이 아닙니다. 병든 노부모가 병상에 누워있어 날마다 간호하는 아들이 있다할지라도 다음날 아침이 되면 그는 일터로 나가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는 하루의 대부분을 직장에서 보냅니다. 그리고 저녁에 돌아와 부모님을 봉양합니다. 그것은 자연스러운 이치입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에 참예한다는 것이 그렇습니다. 우리는 늘 부모님을 봉양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리스도의 부르심이 있을 때 우리는 부리심을 따라 나가야 할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