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적 판단의 두 기준_2010.08.30 
 


우리가 무엇인가를 판단하고 결정하여 행동할 때 우리는 어떤 기준을 놓고 판단하고 행동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것은 첫째, 성경의 근거이며, 둘째, 성경적 추론이다.  


성경의 근거란 무엇인가? 이것을 ‘성경적 근거’라고 하지 않았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성경의 근거란 성경에서 정확히 명시된 근거를 말한다. 성경에서 분명히 선과 악으로 명시해주는 부류의 것은 ‘성경의 근거’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우리는 성경의 근거로써 판단한다. 
 

한편, 종종 성경에 직접적으로 명시되지 않은 것도 있다. 그것은 성경적 근거를 고려하게 된다. 이를 ‘성경적 추론’이라고 이름 붙여 봤다. 이는 성경적 근거에 준하는 것이 무엇인지 추론을 통해 결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역시 어려운 것은 성경적 추론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또는 교회 안에서 거의 관습법처럼 이뤄지고 있는 바들에 있어서 종종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그러나 분명 그 다소와 강약의 차이는 있겠지만 어느 정도 오류도 있을 것이다. 과거의 교회사를 봐도 그렇다. 칼빈과 츠빙글리는 재세례파의 신념을 인정하지 않았다. 재세례파들은 개인의 신앙에 대해 정부가 개입할 수 없다고 생각했고, 유아세례는 성경적 근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칼빈과 츠빙글리는 재세례파의 신념을 옹호하지 않았고, 그들을 해산시키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오히려 재세례파의 신념을 인정하고 있다. 또한, 부흥사 조지 휫필드는 노예제도를 긍정했다. 그러나 오늘날 노예제도는 인정받지 못한다. 이처럼 위대한 신앙의 위인들에게도 판단의 착오와 오류는 존재했다. 이처럼 현재의 교회에도 어느 부분에서는 충분히 오류가 있을 수 있다.  


교회의 관습법을 부정하고 싶진 않지만, 우리가 ‘성경의 근거’ 뿐만 아니라 보다 나은 ‘성경적 추론’을 할 수 있다면 무비판적인 관습법을 따르다가 생기는 마찰 또는 예기치 않은 실패로부터 오는 불신, 갈등을 좀 더 줄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기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