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민석의 조선왕조실록 - 대한민국이 선택한 역사 이야기
설민석 지음, 최준석 그림 / 세계사 / 2016년 7월
평점 :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이란 표현은 너무나도 익숙하다. TV의 다큐나 드라마, 각종 잡지와 신문. 서적 등 그러나 정작 '조선왕조실록'이 무엇을 말하는지 정확한 실체를 떠올려보진 못했다. 일종의 고서의 하나로만 상상될 뿐.
친절하게도 이렇게 무지한 독자를 위해 설민석 강사께서 먼저 '조선왕조실록'이 어떤 책인지 부터 차근차근히 소개해준다. 조선시대 왕들이 승하(타계)한 뒤 모든 생전의 모든 기록물들을 모아 검토하여 편집된 책이란 것. 그리고 다른 나라의 왕조실록과 달리 왕의 기침, 화냄, 어명 등 모든 것이 속기처럼 기록된 것도 함께 다루고 있고, 단지 정치실록만 담은게 아닌 민초들의 삶도 아울러 다루고 있기에 더욱 사료적 가치가 높다는 것도 알려주었다. 덧붙여 실록을 쌓으면 아파트 12층 규모의 두께라고 한다. 놀랍다. 아 그런 책이었구나^^
책을 읽다보니 학창시절 배웠던 내용들이 떠올랐다. 익숙한 사건들 말이다. 그런데 크게 도움이 되었던게 당시에는 단지 사건 위주로 배우다보니 그 사건의 개연성과 인물들의 관계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거의 전무했다. 그런데 이 책을 통해 당시 그 사건들이 어떤 동기와 개연성을 갖고, 어떤 인물들의 상관관계를 통해 다양한 사건들이 연계되어 있는지 살펴볼 수 있어 매우 유익했다.
그리고 역사는 반복된다는 교훈을도 확인할 수 있다. 태조 이성계가 장군이었던 고려말, 최영장군이 이성계의 머리를 세워준 사람이었는데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을 통해 최영 장군에게 죄목을 붙여 죽인 일. 최영 장군은 내게 죄가 없다면 내 묘에 풀이 나지 않을 것이라고 유언했는데, 정말 최영 장군의 묘에는 풀이 자리지 않아 적분이라고 불렸다 한다. 온건파 사대부 정몽주의 고집과 저돌적인 야심가 이방원의 살인사건. 흔히 단심가와 하여가로 유명한 사건이다. 훗날 세조가 단종을 사실상 폐위시키고 왕위를 찬탈한 뒤 사육신 성삼문과 변절의 아이콘이 된 신숙주의 대립된 모습. 성삼문은 세조에게 끝까지 '나으리'라고 하며 왕으로 인정하지 않았다고 한다. 또한, 세조가 내가 주는 녹을 먹으며 어찌 배반하느냐고 하자 성삼문은 녹을 먹지 않았다고 집에 가서 확인해 보라고 했는데 실제 죽은 후 가산을 몰수해보니 세조 이후로 받은 월급이 모두 쌓여있었다 한다.
정치와 권력. 그 테두리 안에서 삶과 죽음이 나뉘는 사람들의 모습은 계속 반복된다. 그리고 무엇인 옳은 삶인가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해보게 된다. 신념과 정의인가. 실리와 시대적 흐름을 인정하는 것인가 말이다. 오랜만에 읽는 너무나 유익한 책이었기에 두고두고 반복해서 읽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