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물통에서 작은 물통으로 물을 옮길 때면 살짝 긴장한다. 혹시나 물을 흘릴까봐 조심스럽다. 너무 조심스러워서 살짝 물통을 기울이면 물이 힘없이 흘러나온다. 작은 물통의 입구로 들어가지 못하고 물통을 적셔버린다. 그렇다고 벌컥 쏟으면 물은 입구로 들어가지 못하고 흘러넘친다. 적절한 힘의 분배가 필요하다.

작은 물통이 투명하지 못할 때는 언제 물이 찼는지를 알지 못한다. 대충 가득 찰 거라 예상되는 부분에서는 점차 물을 따르는 속도를 줄였다가 넘치기 직전 멈춰야 한다. 즉 예의주시하고 있지 않으면 물은 넘쳐버리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애정을 쏟아붓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 아닐까. 너무 조심스러우면 애정이 담기지 못하고 너무 과하면 마음에 담기지 못하고 넘쳐흘러 낭패를 당하기 십상이다. 사람의 마음이란 눈에 보이지 않아 항상 예의주시해야 한다. 마음을 읽으려 노력하지 않고 애정만 쏟아붓다가는 넘쳐흘러버린 애정 탓에 눈살만 찌푸릴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생을 살다보니 미워하는 사람이 생기더라. 싸워 물리쳐야 하는 적과는 조금 다른 미운 사람. 적 보다도 더 증오할 때도 있지만.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에서 이방원은 화사단의 초영을 향해 이런 말을 한다. “적을 누구로 삼을 것인가? 인생에 있어서 적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일종의 협박같은 협상을 제안한다. 삼한 제일검을 적으로 두지 말라고 말이다.

웹툰 <송곳>에서는 구고신 소장이 “세상에 아군이랑 적군만 있는게 아뇨. 이도 저도 아닌 사람들이 우리 편이 아닌 건 문제 없지만 적이 되면 힘들어져.”

 

누구를 적으로 둘 것인가가 중요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미워하는 사람이 생겨 마치 죽일 듯이 미워해보니 알겠더라. 누구를 미워하는냐 보다는 그저 미워하는 그 마음이 괴로움이 된다는 것을.

 

"모든 사람에게 예의를 다하고,

많은 사람에게 붙임성 있게 대하고,

몇 사람에게 친밀하고,

한 사람에게 벗이 되고,

아무에게도 적이 되지 말라"

-도종환의《사람은 누구나 꽃이다》중에서

 

 

‘미움받을 용기’를 말하지만, 누군가의 적이 되지는 말았으면 좋겠다.

미워하고 미움받는 거. 용기가 필요한 일이 아니라 지나가는 바람으로 여길 꾳같은 마음이 필요한 일이 아닐까. 미워하는 마음이 옅어질수록 괴로운 마음도 희미해져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주일이 되었다. 훈련하고 노역하고. 그래도 보릿고개에 먹을 걱정 안하고 사는 게 어디인가. 힘들지만 그래도 견딜만하다.

벌써 1년이 됐다. 이제 군졸로 사는 것이 조금은 익숙해졌다. 어떻게든 버텨내야 하는 게다. 훈련이야 하던 데로 하면 되는 거고, 노역도 요령이 생겨 가끔 게으름도 핀다.

어느덧 2년이 흘렀다. 밑에 신참들도 좀 있고 마음에 여유도 생겼다. 산적이나 도적떼들과의 격투, 가끔 벌어지는 사병들과의 전투에서 운 좋게 살아남았다. 그래, 살아남는 거다. 근데 조금 생긴 이 여유를 어떻게 보내야할까. 남들처럼 이바구를 까거나 노름이나 하며 시간을 때워야 할련지... 아유, 잠깐 바람이나 쇠어볼까. 어, 저기 누구야. 개똥이 아니야. 저 녀석 나랑 같이 들어온 녀석인데... “어이, 개똥이. 자네 지금 뭐 하는갠가?”

“어... 어, 그냥, 무술 훈련 중이야.”

“우리같은 졸따구들이 무술 연습해봐야 무에 소용있다고?”

“아니, 뭐. 그냥 살아남아야지. 내 자신은 내가 지켜야 하는 것 아니겠나.”

“언제부터 훈련해온거야?”

“글세. 들어오고 나서 얼마지나지 않아서부터 시작했으니 2년이 돼 가는군.”

“그래, 고생많네” 누가 알아주지도 않은데, 쩝. 개똥이 녀석 참...

 

오늘은 분위기가 심상치않다. 어라. 저건 길태미. 이런, 제길. 목숨이나 부지할 수 있을까. 삼한제일검을 우리 같은 졸따구들이 어떻게 상대할 수 있겠어? 도망가버릴까. 그럼, 남은 우리 가족까지 모두 죽겠지. 젠장. 재수에 옴 붙었군. 제발, 제발, 길태미. 이쪽으로만 오지 말아줘.

“내 길을 가로막는 자는 그 누구라도 목을 칠 것이다!”

길태미의 목소리가 섬뜩하군. 으.... 드디어. 이쪽으로 오느구나.

 

“어라. 너 일개 군졸이 어찌 내 일합을 막았느냐?”

“그냥... 엉겁결에.”

“그래, 네가 비록 일합을 막아냈지만 네 목숨을 구제하지는 못할 것이다.”

“어이, 이인겸 따깔이. 나랑 상대하지”

“뭐, 이..... 이놈!”

길태미가 다른 쪽으로 갔다. 휴 목숨만은 건졌구나.

다른 군졸들의 떼죽음 속에서 개똥이는 무릎에 힘이 풀려 털썩 주저앉는다.

 

※ <육룡이 나르샤>를 보다 길태미와 맞서야 하는 군졸들의 마음은 어땠을까 하는 괜한 상상이 들어 끄적여봤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가끔은 모성이나 본능이라는게 허깨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본다.
특히 오늘같이 버려진 새끼들을 보면 더욱 그렇다.

벽틈 사이에서 고양이 우는 소리가 들렸다.
합판을 뜯어내 보니 꾸물꾸물 움직이는 작은 것들이 눈에 보인다.
하지만 좀처럼 움직이지 않는 것들도 있다.
세 마리는 죽어 있었다. 흙으로 고이 고이 잘 돌아가라 묻었다.
두 마리는 동물병원으로 데려갔다. 큰 탈은 없단다.
우유와 요구르트를 타서 먹이면 괜찮단다.
작은 주사기로 조금씩 조금씩 먹여보지만 영 시원찮다.
그래도 우는 소리가 조금 우렁차게 들린다.
그런데... 이 녀석들 어떻게 해야하나.
키울만한 데를 알아보지만 쉽지가 않다.
고양이를 기겁해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다.
이를 어쩐다나...

 

오늘밤 젖을 먹이려 고양이 에미가 찾아오면 좋으련만.
아마도 에미는 이맘때쯤 시골길 아스팔트 위에서 심심찮게 마주치는
로드킬된 시체 중 하나가 되지 않았을까 싶다.
아무래도 그런 편이 모성과 본능이 허깨비가 아니라는 위안을 줄테니까.

 

그런데 새끼 고양이 우유를 먹이고 트럼을 시키는게
꼭 사람 새끼 키우는 것 하고 똑같다.
딸내미 갓난아이 시절이 어렴풋 떠오른다.

 

막 태어나 태반이 벗겨지지 않았던 강아지를 보며 겁을 내던 딸내미가
주사기로 우유를 먹는 고양이 새끼들에겐 귀엽다며 안아보려고 한다.
딸내미, 아빠가 너 키울때 어땠을지 너도 고양이 키우며 겪어볼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혼자 사는 사람이 중국집에 배달시켜먹으려면
다 못먹더라도 2인분을 시킨다.
1인분 배달은 그야말로 배달값도 안나오는 장사이니
주문은 거절당하기 일쑤다.
손님이 왕 대접받으려면 돈 좀 있고 봐야 한다.
안먹을 음식까지 시켜야하니까.

 

딸내미와 밥을 먹으러 식당엘 가면
비슷한 처지가 된다.
궂이 딸내미 먹을 것까지 시킬 필요는 없다.
그냥 공기밥 한 그릇만 추가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 뭔가 뒤통수가 간지럽다.
그래서 그냥 메뉴 두 가지를 시켜버린다.
2인분 값을 치르고 나오면 개운하다.
물론 배터지게 먹고 힘들어하고 돈도 좀 아깝기도 하지만...

 

한 식당엘 들어갔다.
부부가 운영하는 시골의 식당.
딸내미 귀엽다고 호들갑이다.
자연스레 주문을 받는데 당연스레 한그릇이란 말투다.
뒤통수 간지러운 느낌없이 1인분만 시켰다.
그런데 밥은 두 그릇이 나온다.
아이 먹으라고 반찬도 특별히 두 가지가 더 나왔다.
계산 할때 밥 한 그릇 값은 빠졌다.
아이 밥은 그냥 주는 거라며.

 

이런 온정이 그립고 감사하다고 생각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
역시 부담스럽다.
먹은 만큼 제값 치르고 나오면 뒷 일은 없다.
그냥 가게에 들러서 돈 내고 밥 먹고 그 뿐인 것이다.
그런데 여기 부담이 얹어졌다.
그래서 찬찬히 생각해봤다.
이 부담이라는 감정이 어디서 온 것인지를.
그런데 이 부담이 실은 돈의 교환가치를 뒤엎을 수 있는 실마리가 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담이 부담된다면 친절한 이 식당을 다시 찾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친절을 친절로써 되갚는다면 돈의 교환관계를 떠나 인간적 교환관계가 성립될 수 있지 않을까.
딸기든 토마토든 아주 조금이라도 농장에서 생산된 것을 들고 식당을 찾아본다면 그야말로 단골이 될 것이다. 자주 찾지 않더라도 말이다. 물론 이런 마음은 그야말로 자발적이다. 계산없는. 그러고 싶은 마음이 절로 샘솟는걸 느낀다.

 

돈의 관계란 개운하다. 뒷끝이 없다.
인간 관계란 부담스럽다. 하지만 그 부담이 행복감을 줄 수 있다. 실은 부담이라는 감정은 돈의 관계에 익숙해진 탓일지도 모르겠다. 부담되는 삶 좀 살아봐야겠다고 얼핏 생각하고 설핏 다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