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홍길의 약속 - 2005 한국 초모랑마 휴먼원정대
심산 지음 / 이레 / 2005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에베레스트 죽음의 지대에서 과연 조난자를 구하지 않는 것이 비난받을 짓인가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의족을 한 뉴질랜드인 마크 잉글리스가 에베레스트를 등정하고 나서 내려오는 길에 조난자를 발견했지만 그냥 내려왔다는 인터뷰 이후, 많은 산악인들 또한 비슷한 경우가 있었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반대로 25일 호주 산악인 홀이 탈진상태로 쓰러져 있는 것을 미국인 댄 마지르가 등정을 포기하고 구조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훈훈한 인간애를 전해왔다. 그렇다고해서 조난자를 구조하지 않은 사람들을 쉽게 비난할 수는 없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자신 한 몸 건사하기 힘든 악조건 속에서 남을 구하겠다는 의지 하나만으로 섣불리 덤볐다가는 또다른 조난이 이어질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바로 그런 점에서 작년 초모랑마 휴먼원정대를 꾸렸던 엄홍길의 산행은 특별하다. 죽어버린 산친구들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목숨을 거는 그 험난한 산행을 계획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진한 감동이다. 이 책은 휴먼원정대가 꾸려진 사연부터 시작해 시신수습의 과정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등산전문용어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원정대원들 하나하나의 감정들을 그대로 실어내고 있다.

초모랑마에서 목숨을 잃은 3명의 이야기와 남겨진 가족들의 사연을 읽다보면 눈물이 앞을 가린다. 특히 죽음을 알면서도 조난당한 동료를 구하기 위해 길을 나섰던 미련곰탱이 백준호의 모습은 '인간이란 무엇인가' 라는 근원적 질문을 던지게끔 만든다. 생과사의 갈림길에서 생을 과감히 저버릴 수 있는 그 힘이 바로 사람다움의 본모습이 아닐까 생각하게 만든다.

엄홍길을 비롯한 휴먼 원정대의 사투 또한 울음샘을 자극한다. 동료의 시신을 수습하기 위해 안정된 직장을 버리고 쫓아온 사람들부터 시작해 이들을 음으로 양으로 도와준 많은 사람들의 사연들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든다. 성공의 가능성이 희박한줄 알면서도 떠나는 사람들, 자신의 남편과 아버지, 아들을 집어삼킨 산과 인연을 맺은 사람들에게 분노보다는 오히려 미안함과 격려, 애정을 쏟는 유가족들. 세상이 너무 따뜻하게 보인다. 그 추운 에베레스트의 심술을 녹일 정도로 말이다.

휴먼원정대의 결과가 성공이라고 해야할지 실패라고 해야할지 잘 모르겠다. 산에서 목숨을 잃은 3명중 박무택의 시신만을 데리고 내려와 돌무덤을 만들어주었지만 이들의 소원은 분명 이루어진 것이리라. 그리고 먼저간 3명은 아마도 이들의 사랑을 알고서 초모랑마를 더이상 배회하지 않고 영혼의 안식처로 떠났을 것이라 확신한다. 사람과 사람사이의 약속. 그 속에 뜨거운 피가 흐른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6-05-30 1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람과 사람 사이의 약속, 그 속에 뜨거운 피가 흐른다.. 꾸욱~

하루살이 2006-05-31 0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을 읽고나서도 미련곰탱이 백준호가 계속 떠오르는 거 있죠!
정말 그럴 수 있을까요? 누군가를 위해서 자신의 목숨을 바칠 수 있다는 것.
죽음이 눈 앞에 보이는데 걸어들어갈 수 있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