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이 이야기
얀 마텔 지음, 공경희 옮김 / 작가정신 / 200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도에서 동물원을 경영했던 한 가족이 캐나다로 이민을 떠난다. (동물원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마치 최근 영화 마다가스카를 떠올리게 만든다. 밀림 속에서만이 동물이 동물다워지는 것이 아니라, 동물원 안에서도 동물은 동물다울 수 있다는 생각. 즉 밀림이나 동물원이나 제한된 자유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다는 저자의 생각은 동물원이 어떻게 탄생했고, 그 역사가 갖는 의미와는 별개로, 다분히 인간의 생존조건에 대한 어려움을 전제로, 동물적 관점에서 바라본 동물원에 대한 색다른 견해를 보여주고 있다.) 이들 가족이 몸을 실은 화물선은 태평양 한가운데서 좌초를 하고, 주인공인 16세 소년 파이는 구명보트에 몸을 싣는다. 그런데 이 구명보트에는 다리가 부러진 얼룩말, 암컷 오랑우탄, 하이에나, 벵골 호랑이가 타고 있다. 그리고 머지않아 먹이사슬에 따라 동물들은 죽어가고, 결국 파이와 호랑이 리처드 파커만이 보트에 남는다.
소설은 소년과 호랑이가 227일간을 표류하면서 멕시코 해안에 도달하는 과정을 이야기하고 있다. 정말 '소설'같은 이 이야기는 인간이 절망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희망을 일구어내는지를 사실감있게 그려내고 있다. 잘 기억나진 앉지만 잡은 물고기를 싱싱한 활어상태로 육지까지 보관하기 위해 상어 한마리를 집어넣는다는 것과 어찌보면 일맥상통하는 이야기 같다. 자신의 삶을 위협하는 호랑이라는 존재가 있음으로 인해서 삶의 끈을 놓지 않고 끝끝내 살아남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말이다.
227일간의 표류과정은 마치 로빈슨 크루소를 읽는듯 하다. 물과 음식을 구하기 위한 가지각색의 묘안, 호랑이와의 동거를 위한 길들이기 작업, 실명과 기아 직전에서 행한 식인행위, 바다 한 가운데서 만난 식인섬에서의 안주와 탈출 등등이 손에 땀을 쥐게 만든다. 주인공 파이는 자신이 이 오랜 표류기간을 이겨내고 살아남은 것을 다음의 두가지 요소로 이야기하고 있다. 하나는 절대로 잃어버려서는 안되는 것. 하나는 끝끝내 밀쳐내야 하는 것. 잃어버리지 말아야 할 것은 삶에의 의지. 밀쳐내야 할 것은 공포감.
삶에의 의지는 우리가 살아가는 일상에서도 끝끝내 놓쳐서는 안될 그 무엇일게다. 육체적으로 힘들고 정신적으로 공백을 느끼는 순간, 우리는 삶에의 의지를 놓치고서 그냥 인생의 바다를 표류하다 가라앉아버린다. 삶의 고비라고 느끼는 순간순간마다 우리는 얼마나 그 끈을 놓아버리고 그냥 포기하고, 이내 운명에게 모든 것을 맡기고 싶어했던지 떠올려보라. 그리고 이내 그 운명의 흐름에 휩쓸려 지금 이렇게 서 있는지도 모를 나의 본 모습을 돌아보자. 우리가 그렇게 의지의 끈을 놓아버린 것은 아마도 공포감을 이겨내지 못해서일지도 모른다. 지금 내가 쥐고 있는 이 삶에의 의지가 정말 행복을 가져다 줄것인지에 대한 불안이 이내 이성을 마비시키고, 공포감에 젖어 생을 운명에 맡겼던 적이 얼마나 많았는지도 떠올려보자.
살아나고 싶다면 적응해야 한다. 많은 것이 소모된다. 가능한 곳에서 행복을 얻어야 한다. 지옥의 밑바닥에 떨어져서도 팔짱을 끼고 미소를 지어야 한다. 그러면 지상에서 가장 복 받은 사람이 된 기분이 된다.(270쪽)
희망은 희망을 원한 사람들에게만 그 빛을 보여준다. 그 희망은 삶에의 의지요, 그 삶에 대한 신뢰감을 바탕으로 한 용기다. 누가 태평양 한가운데서 호랑이와 구명보트에서 마주한채 살아남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상상이나 했겠는가? 포기는 삶의 행동 가운데 가장 쉬운 항목임을 또 한번 가슴에 새기리라.
소설의 재미는 표류의 종결로 끝나지는 않는다. 일본 항운회사가 배의 좌초의 원인을 알기 위해 멕시코 병원으로 파이를 찾아왔을 때, 일본인들은 그의 모험담을 믿지 않는다. 그래서 파이가 이야기하는 두번째 모험담은 동물 대신 모두 사람으로 대체되어져 있다. 그리고 혹시 그것이 진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는 점에서 이 소설이 가지는 또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이 진실이라면 너무나도 섬뜩하기에 우리는 호랑이가 나오는 첫번째 모험담을 진실로 여길 것이다. 그리고 바로 그 이야기 속에서 우리는 희망을 찾는다. 가슴 속에서 사그라들지 않을 희망의 빛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