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숙의 몸과 인문학 - 동의보감의 눈으로 세상을 보다
고미숙 지음 / 북드라망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그저 세상을 살아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마냥 살아가는 것처럼 보이는 것에도 각자의 독특한 방식이 있게 마련이다. '나는 아무런 방식없이 살아간다'는 무방식도 하나의 방식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방식이 죽을 때까지 고정된 것은 아니다. 수십년을 한결같이 살 수도 있지만 순간순간 방식이 변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는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관여되고 있을 뿐이다.

고전평론가 고미숙이 동의보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이야기를 썼다. <몸과 인문학>이라는 책에서는 성형, 연애, 가족, 드라마, 영화 등등 일상 속 모습들이 동의보감이라는 안경을 쓰고 비쳐진다. 그런데 그 모습들이 어딘지 모르게 병들어 있는 상태다. 동의보감이 말하는 건강과는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 책은 말한다 "건강이란 무엇인가? ... 삶이 왜곡되면 생리적 리듬도 어긋나게 마련이다. 가족을 지키기 위한 전쟁도, 지순한 사랑의 파토스도 삶에 대한 통찰로 이어지지 않으면 다 병이 된다. .. 건강은 삶에 대한 지혜와 분리될 수 없다. 인도의 아유르베다 의학은 병을 지혜의 결핍으로 정의한다. 동의보감의 의학적 비전인 양생술은 원칙적으로 유불도 삼교회통을 추구한다. 그리고 그 수행의 핵심은 비움이다. 무지와 탐착이야말로 만병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생술이란 무지로부터의 자유, 곧 내 안에 있는 지혜를 일깨우는 과정이기도 하다. 지혜의 핵심은 소통이다. ... 소통하지 않는 삶은 그 자체로 병이다."

 

이런, 또 소통이다. 정치권을 강타하고 있는 소통의 문제가 건강의 관점에서도 말썽이다. 소통의 부재라는 한탄은 결국 사회적으로 병이 들어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물론 개인 또한 마찬가지로 병마에 시달리고 있다. 한없이 채우려고 하는 욕망들로 들끓어 있기에 소통의 공간이 부재한 것이다.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 꽉꽉 채우려다 보니 욕망의 변비가 생겨 얼굴엔 일그러진 표정들 뿐이다. 그래서 필요한 것은 비움이고 그 비움은 바로 명랑에서 시작될 수 있다. 이것은 고미숙이 줄곧 이야기해 왔던 박지원과 임꺽정, 그리고 동의보감으로 이어지는 서사와 유머라는 문맥과 상통한다.

 

고미숙은 말한다. "불행을 위해 태어나는 인간은 없다. 생명의 본질은 비극이 아니라 명랑함이다. ... 존재 안에서 생명의 리듬을 찾아내고, 그걸 통해 사회적 표상과 통념을 날려 버리는 능력, 그것이 곧 유머요 명랑함이다."

 

생명이 가장 두려워하고 피하고자 하는 것은 죽음이다. 그런데 그 죽음을 스스로 선택하는 생명들이 있다. 바로 슬픔과 고통 때문이다. 그렇기에 살아간다는 것은 일단 슬픔과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고자 하는 욕망일 수도 있겠다. 그러한 욕망의 표현이 바로 명랑함일 것이다. 그리고 사람들은 명랑한 사람들과 함께 하고자 한다. 명랑함은 곧 소통의 전제조건이 될 수도 있다. 비로소 건강함으로 가는 길이 시작되는 것이다.  

  

언어는 자신과의 소통이자 타자와의 능동적 교감행위이다. 이 소통과 교감의 욕망이 서사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서사는 그 자체로 집합적이다. 여기서는 다다익선의 법칙이 아니라 각자의 개성과 차이가 더 핵심이다. 타자들의 시끌벅적한 향연, 그것이 곧 서사적 네트워크요 길이다. 따라서 이 길 위에선 늘 유머가 생성된다. 유머는 단순한 웃음이 아니라 기존의 통념과 질서에 균열을 일으키는 역설 혹은 아이러니다. 이 전복적 여정 위에서 또 다시 삶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린다. 고로, 서사와 유머야말로 사람과 사람이 연결되는 최고의 다리다. 169쪽

 

한마디로 웃기는 이야기 좀 하며(만들어가며) 명랑하게 살아보자. 그런데 도통 그게 쉬운 일이 아니다. 혹시 마음억은 대로 잘 되지 않는다면 건강을 위해 아침운동을 하듯 이제부터 명랑운동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