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수십 수백 건의 사고가 발생한다. 그런데 이 사고들은 모두 우연히 발생한 것일까. 어떤 사고로 인해 누군가가 이득을 본다면, 그 사고는 의도되고 계획된 사고일 수도 있지 않을까. 많은 사고 속에 파묻혀 범죄라는 인식도 하지 못한 채 사라져버린다면 그야말로 완전범죄가 되지 않을까. 


<설계자>는 이런 음모론(?)적 사고(思考)로 세상의 사고(事故)를 바라보는 영화다. 사고로 위장된 조작된 범죄를 설계하는 팀의 대장으로 강동원이 주연을 맡고, 이미숙, 이현욱, 탕준상이 팀원으로 연기한다. 그런데 이전 팀원이었던 짝눈(이종석)이 1년 전 사고로 죽고, 지금 또다시 점만(탕준상)이 사고로 죽게 된다. 하지만 탕준상의 죽음은 자신을 타깃으로 했던 사고라는 것을 강동원은 안다. 자신들보다 더 거대한 사고의 설계팀, 즉 '청소부'가 등장한 것이다. 그리고 청소부는 강동원을 타깃으로 움직이고 있다.  


영화의 재미는 1. 어떻게 사람들을 속일 정도로 사고를 완벽하게 우연처럼 보이도록 설계할까 2. 강동원을 노리는 청소부의 정체는 누구일까 에 달려있다고 생각된다. 


<설계자>는 첫번째 재미는 그럭저럭 달성하고 있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두번째 재미가 아리송하다. 강동원의 추리를 쫓아가면서 청소부의 정체가 드러날까 싶지만, 결국 정체를 보여주지 않고 끝을 맺는다. 물론 진짜 청소부에 대한 암시를 주지만, 확신을 하지는 못한다. 진짜 청소부를 찾기 위해 강동원이 경찰에 자수를 하지만, 오히려 그의 진술은 피해망상쯤으로 여겨진다. 이런 간극이 주는 재미가 돋보였다면 좋을 텐데, <설계자>에선 그 간극에 그다지 집중하지 않는 듯하다. 


영화 <설계자>는 조작된 사고를 통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선 타인의 죽음마저도 가벼이 여기는 세상 속, 마무도 믿을 수 없다는 절망감이 가득한 디스토피아를 그리고 있지만, 영화를 보고나서 느끼는 절망감이 더 큰 것은 왜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