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중국 사이에 끼여 있는 부탄. 경제지수는 세계 199위. 하지만 행복지수는 아시아 1위.

왕이 다스리는 왕국. 왕 앞에서 행진을 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니 군대가 떠오르더군요.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사람들 얼굴에 미소가 가득하다는 것과 발을 제대로 맞추지 않는다는 것. 규율 속에 흐트러진 모습이 공유하고 있는 이 행진의 모습이 부탄을 대변하는 것 같았습니다.

물질적 풍요가 행복과 비례하다고 굳건히 믿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부탄의 삶은 충격입니다. 무엇인가 더 가져야만 행복해질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하지만 행복은 그것과 비례하지는 않습니다. 차마 무관하다고는 말하지 못하겠습니다. 배고픈 사람들이 마음만 비우면 행복하다고 말하는 것과 같을테니까요.

누군가는 국가의 소득이 만달러에서 만오천달러 사이까지는 행복지수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이 되면 오히려 감소한다고 하더군요. 무슨 지수라고 하던데 잊어버렸습니다. 아마도 만달러 정도가 배고픔을 해결할 수 있는 소득 수준인가 봅니다.

그런데 이 과학적(?) 통계가 부탄에 적용되지는 않잖아요. 물론 부탄이 기아에 허덕이는 나라는 아니니까 가능한 일이겠지만...

논과 밭에서 사슴들이 먹이를 찾아 어슬렁거리는 모습이라거나, 두루미를 신성시하는 장면에서 평온함을 엿봅니다. 특히 두루미는 칠천미터가 넘는 히말라야를 넘어온다고 하더군요. 부단한 날개짓으로 오르는 것이 아니라 히말라야를 넘어가는 바람을 타고서 말입니다.

바람도 안개도 물도 사슴도 두루미도 모두 소중한 곳. 타인을 짓누르지 않고도 나를 나이게 하는 곳. 그래서 행복하지 않을까요, 부탄은.

나는 정녕 행복한지 묻습니다. 그리고 행복하려고 무엇을 하고 있는지 돌아봅니다. 행복조차 잊고 살았던 것은 아니었는지...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7-01-12 1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보셨군요.전, 이 스페셜 보면서 부탄에 가서 살고 싶어집니다.
몸도 마음도 다 열고 하늘과 땅에 스스럼없이 기대어 살고 싶어요.
살 수 없다면 그 해맑은 아이들과 놀 수 있는 작은 마을을 한 번이라도 방문하든가.
우리나라는 정말 너무 많이 잘못 되어가고 있어요.
부탄을 가려면 어떻게 가야 하는지, 언어는 어떻게 해결하는지..경비는 비쌀까...
별 생각을 다 하면서 잠을 잤답니다. 내가 나로 순수하게 살 수 있는 땅.
그곳에 가고 싶어요.

하루살이 2007-01-14 2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곳에 가고 싶어요.
그런데 우리가 꼭 가야만 할까요. 우리 땅에서 그런 마을을 만들 순 없을까요.
제 꿈은 그런 마을 하나 만들어(?) 보는 겁니다.
마음 맞는 사람끼리 모여 살면 혹시 가능하지 않을까요.
아무튼 만년설과 함께 살고 있는 그들의 자연환경은 너무 부러웠어요.

icaru 2007-01-18 16: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탄은 가스만 있다고 생각했는데... 나라도 있었네..!
아침에 일어나 화장실에 앉아서 졸린 눈 비비적거리며, 나는 행복한가 생각해보곤 하는데... 행복한 거야! 그럼 더 생각하지 말자구 함서 다독이죠~

하루살이 2007-01-21 2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그래서 청소년 중에 행복해보고싶다고 가스를 들이키는건가?(농담입니다)
행복한 사람은 행복이라는 단어조차 알지못할지도...
또는 행복의 종류는 백팔가지가 있는데 하며 장황한 설명을 해 줄지도 모르는 일이죠.
어쨋든 한바탕 신나게 살았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