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정확히 말하면, 애초에 다른 사람들은 내 생각을 안 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다른 국가에서 보내는 이틀은 익숙한 환경에서 보내는 30일만큼의 가치가 있다는 극작가 유진 이오네스코의 여행 공식에 동의했다.

나이가 들면 특이하고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더 이상 다른 사람의 생각에 신경 쓰지 않게 되는 것이다.

최근 연구들은 2000년 전에 에피쿠로스가 한 말이 사실임을 증명해준다. 바로 우정이 행복의 가장 큰 원천 중 하나라는 것.

젊은이들에게 친구는 중요하다. 나이 들면 친구는 더욱더 중요해진다.

없음nothingness은 과거에 존재했던 것과 지금도 존재하는 것에 따라 정의된다.

그때나 지금이나 인간이 죽을 확률은 정확히 오차범위 0의 100퍼센트다. 한 명도 빠짐없이 모두가 수영장에 던져진다.

우리 시대에 죽음은 몽테뉴가 살았던 때만큼 긴 그림자를 드리우지 않지만 그렇다고 큰 위안은 못 된다. 짧은 그림자라고 해서 그만큼 덜 어두운 것은 아니다.

"이 세상 모든 지혜와 이론의 핵심은 결국 바로 이것이다. 우리에게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

나처럼 몽테뉴도 죽음을 두려워한다. 그리고 나와 달리 자기 두려움에 정면으로 맞선다.

공허와 빈자리는 같은 것이 아니다.

크세주Que sais-je.3 ‘나는 무엇을 아는가?’ 이 짧은 문장은 몽테뉴의 철학과 그가 살아온 방식을 깔끔하게 압축해 보여준다.

몽테뉴에게는 자신의 우연한 철학을 담을 문학 형식이 필요했다. 그런 문학 형식이 존재하지 않았기에 몽테뉴는 직접 하나를 만들었다. 바로 에세이다. 프랑스어로에세이assay는 ‘해보다’라는 뜻이다.에세이는 실험이자 시도다.

죽음의 해결책은 더 긴 삶이 아니다. 절망의 해결책이 희망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다.

죽음과 절망 모두 같은 약을 필요로 한다. 수용이다.

익숙함은 경멸을 낳지 않는다. 마비를 낳는다. 우리는 가까이 있는 것의 아름다움을 보지 못하고 고향의 음악을 듣지 못한다.

다 카포.
처음부터 다시 한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