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이 흘러 다시 읽으면 또 새롭게 인생의 시선을 넓혀주고 방향을 제시해주는 고전문학, 시간의 세례를 받아도 감동은 여전히 새로운 고전문학을 좋은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어 이 책을 집필했다.

저녁 먹고 나서 읽기 시작했는데 밤이 지나 창가에 동이 하얗게 터왔다. 밤새 읽고 나서 마지막 책장을 덮는데 뭔가 내가 훌쩍 자라버린 느낌이었다.

거울 속 나의 눈이 조금 깊어진 느낌이었던 것도 기억난다.

인생의 고난은 누구에게나 오는데 누가 도와주는 게 아니라 스스로 헤쳐나가는 것이라는 것을, 나에 대한 판단은 다른 사람이 하는 게 아니라 스스로 내면을 돌아보며 내가 나를 판단하는 것이라는 것을 그들을 통해 알게 되었다.

책은, 직접 대면해서 좋다. 만질 수 있어서 좋다.

일했다.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시나리오도 그의 작품이다

철학서가 직접적인 안내서라면, 명작 소설은 친구 같은 조언자다.

책 중에도 시간의 세례를 받은 소설을 특히 좋아한다. 시간을 이기는 것들은 강하다. 세월이 흘러도 사랑받는 책은 다 그 이유가 있다.

길을 잃고 방황하는 삶의 고비에서 나침반을 쥐여주고 싶다.
당당하게 걸어갈 동행자를 만들어주고 싶다.

특별한 사건도 없고 복잡한 이야기 구조도 없지만, 읽는 내내 눈시울을 적시게 되는 소설이다. 1857년에 쓰인 150쪽 남짓한 얇은 책에 대체 어떤 내용이 담겨 있기에 15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사랑에 관한 불후의 명작으로 꼽히는 것일까?

카프카의 『변신』을 읽고 크게 감명받은 그는 법학 공부를 그만두고 본격적인 작가 수업을 시작했다.

그에게는 사랑이 조건이 아니라 운명이기 때문이다. 상대는 내가 사랑해주지 않아도 잘 살아가는데 나는 그 사람을 사랑하지 않으면 살 수 없는 것, 그것이 외사랑의 슬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